KCI등재
중국의 박물관 현황과 대학박물관 발전방향 = The Present Status of Museums in China and the Development Orientation of University Museum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2
작성언어
-주제어
KDC
9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35-146(12쪽)
제공처
소장기관
중국에서 근대적인 박물관이 설립된 지 100년이 지났다. 중국은 3400여개의 박물관이 있으며 1800여개가 무료 개방하고 있다. 중국은 박물관을 도시건설의 기초시설로 인식하고 사회발전의 중요한 역량으로 삼고 있다. 또한 박물관사업 중장기발전계획을 발표하여 2020년까지 선진국형의 세계적인 박물관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
중국의 대학은 2,300 여개인데 박물관이나 학술자료를 소장하고 있는 기관이 300여개이다. 19세기 중반 근대교육과 함께 시작한 대학박물관은 지역사회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지역의 경제발전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대학박물관은 중소형이 대부분이며 과학기술류와 역사류 박물관이 많다. 또한 현장교육과 과학적 연구를 비롯한 우수한 전문 인재를 배양하고 있으며 일반인들이 대학문화와 디지털화된 학습 자료를 접할 수 있는 중요 통로이다. 그러나 대학박물관에 대한 국가의 담당부서와 구체적인 발전정책이 미흡하며 재정적 투자가 부족하다. 또한 대학박물관의 접근성이 불편하고 공간이 협소할 뿐 아니라 관리인원이 부족하다. 따라서 국가에서는 대학박물관의 중요성을 충분히 인식하고 대학박물관의 발전을 위한 계획과 지원이 절실히 필요하다.
It has been a century since China’s first modern museum was established. China has 3,400 museums, 1,800 of which are open for free. The nation recognizes museums as a fundamental infrastructure for urban structure and an important component for social development. Aiming to further develop its museums to a world class by 2020, China established a mid- and long-term development plan for museums.
Of 2,300 universities in China, 300 institutions have a museum or academic materials. Began to be established in the mid 19th century with the emergence of modern education, university museums are based on local communities and closely associated with the regions’ economic development. Most of them are small or medium in size and mainly focus on science, technology and history. They serve as a cradle to nurture professional talents through field-oriented education and academic research and as a window through which the public can learn university culture and obtain digital learning materials. However, the government has no specific organizations taking charge of university museums, development plans or financial supports. In addition, university museums lack accessibility and suffer from insufficient space and management. Therefore, the government should fully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university museums, develop plans and make supports for the development of university museum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