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윗내포제(서판제) 남창지름시조 연구 -경제, 아랫내포제와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Namchangjireumsijo(男唱叱音時調) of Witnaepoje(Upper-內浦制): Focusing on comparison with Gyengje(京制) and Aratnaepoje(Lower-內浦制)
저자
김민정 (숭실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17-253(37쪽)
제공처
본 연구는 일명 ‘서판제’로 불리는 윗내포제 시조 중에서도 남창지름시조의 음악적 특징(음계구성, 장단과 배자, 시김새 및 선율구조)을 원형인 경제, 그리고 같은 내포권인 아랫내포제와 비교ㆍ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미적특성을 추리해내는 것을 목표로 진행되었다. 그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윗내포제 남창지름시조의 음계구성은 黃(e♭)ㆍ太(f)ㆍ仲(a♭)ㆍ林(b♭)의 4음을 기음(基音)으로 하여 5도 위로 변조시켜 黃(e♭)ㆍ太(f)ㆍ仲(a♭)ㆍ林(b♭)ㆍ南(c)ㆍ潢(e´♭)ㆍ汰(f´)ㆍ㳞(a´♭)으로 확장된 평조 선법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음구성은 3음을 기음으로 하여 변조된 경제나 아랫내포제를 비롯한 타제와 변별된다. 또한 경제와 아랫내포제는 초장(初章)에 국한되어 南(c)이 추가되는 반면, 윗내포제는 곡 전반에 걸쳐 南(c)과 太(f)가 수시로 등장하여 평조 선율을 만들어내는 점에서 확연한 차이가 있다.
장단은 본래 3점 5박과 5점 8박으로 되어 있는 것이 원칙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윗내포제와 아랫내포제는 5박 장단에서 2점(제2박ㆍ제5박), 8박 장단에서 3점(제2박ㆍ제5박ㆍ제8박)이 추가되어 공박(空拍)이 없는 점에서 일치하며, 이는 두 내포제만의 고유한 특성으로 볼 수 있다. 다만 장단 부호나 명칭, 연주법 등의 세부적인 내용에 있어서, 아랫내포제는 석암제의 율려상조법을 수용하고 있는 반면, 윗내포제는 1940년대 이전의 고형(古形)을 고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배자법을 비교한 결과, 늘어난 노랫말이 포함된 초장 제3각 외에는 전반적으로 배자 원칙이 잘 지켜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만 가사 붙임에 있어서, 윗내포제는 부분적으로 ‘엇붙임’ 하거나 두 글자를 한 박 안에 몰아붙이는 점에서 차이가 있지만, 노랫말이 상대적으로 명확하게 전달되는 측면이 있다.
이상의 내용들을 토대로 선율을 비교ㆍ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성(搖聲)’에 있어서, 윗내포제는 상대적으로 요성 폭을 넓게 하여 본음과 한음 정도 높은음을 오르내리며 둥글게 엮어진 모양대로 출렁이며 떠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로 인해 흥청거리며 호탕한 느낌을 전해준다.
둘째, 仲→黃으로 4도 하강할 때 경제와 아랫내포제는 각각 “仲黃▼黃”과 “仲黃黃”으로 黃을 짧게 ‘뚝 끊는 기법’을 사용하는 반면, 윗내포제는 끊지 않고 ‘엇거슬림’하여 곡선을 그리듯 부드럽게 내려앉아 밀어 올리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셋째, 중장과 종장의 ‘종지법’에 있어서, 경제와 아랫내포제는 각각 “仲(㑣太)黃”과 “仲黃”으로 끊어내며 여운 없이 마무리하는 반면, 윗내포제는 “太⤳黃⤻太⤳黃―” 또는 “仲-⤳太⤳(黃太)黃―”으로 부드럽게 연결하여 순차 진행한 후 여유 있게 흔들며 여운을 남긴 채 마무리하는 점에서 확연한 차이가 있다. 이는 윗내포제만의 독특한 ‘종지법’이라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순박하고 한가로운 느낌을 전해준다.
넷째, 남창지름시조의 중장과 종장은 경제 평시조의 선율로 되어 있는 까닭에, 중장(제2각)과 종장(제1각)에서 고음(潢ㆍ汰)과 함께 속청()이 등장한다. 하지만 이때 윗내포제는 고음(潢ㆍ汰ㆍ㳞)을 통성으로 우렁차게 질러내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마지막으로, 선율진행에 있어서 윗내포제는 독특한 흐름을 보여준다. 특히 고음으로 진행되는 선율에서 단독으로 ‘南’을 추가하여 평조선법의 독특한 선율형을 만들어내 ...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 Namchangjireumsijo (scaling composition, jangdan, Lyrics placement, sigimsae and melody structure) among the Sijos of the Witnaepoje, so-called ‘Seopanje’, with its original form, Gyeongje, and the Aratnaepoje, which is in the same inner world, and inferring aesthetic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results. This is summarized as follows.
The scale composition of the Witnaepoje Namchangjireumsijo is the four notes of 黃(e♭)ㆍ太(f)ㆍ仲(a♭)ㆍ林(b♭) as the fundamental tone, and is expanded to the pyeongjo scale by modulating it by a fifth to 黃(e♭)ㆍ太(f)ㆍ仲(a♭)ㆍ林(b♭)ㆍ南(c)ㆍ潢(e´♭)ㆍ汰(f´)ㆍ㳞(a´♭). This scale composition is different from other songs such as Gyeongje and Aratnaepoje, which are modulated with three notes as the fundamental tone.
The rhythm is originally composed of 3 points 5 beats(3點 5拍) and 5 points 8 beats(5點 8拍) in principle. However, in the case of the Witnaepoje and the Aratnaepoje, the 5 beats rhythm is 5 points 5 beats(5點 5拍) and 8 points 8 beats(8點 8拍), which means that there is no emptiness, and this method of performance is different from Seogamje including Gyengje. It can be seen a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two inclusion agents. However, in terms of details such as rhythm symbols, names, and playing methods, it can be seen that the Aratnaepoje rhythm adopts the ‘Yulyeosangjobeop(律呂相調法) method of the Seogamje, while the Witnaepoje rhythm adheres to the ancient form before the 1940s.
Based on the above theory, the results of comparative analysis of melody are largely summarized into the following four.
First, in the ‘Yoseong(搖聲)’, the Witnaepoje tone is different in that it has a relatively wide range of tones, and rises and falls one tone higher than the main tone, and sways and trembles in a rounded shape. This gives a relatively lively and bouncy feeling.
Second, when descending 4 degrees from 仲→黃, the Gyengje and Aratnaepoje use the technique of ‘abruptly cutting off’ the 黃, as in “仲黃▼黃” and “仲黃黃”, respectively, whereas the Witnaepoje does not cut it off, gently lowering it as if drawing a curve and pushing it up, which is different.
Third, in terms of the ‘ending method’ of the middle and final verses, the Gyengje and lower nested verses end with “仲(㑣太)黃” and “仲黃” respectively, ending without lingering feelings, whereas the Witnaepoje smoothly connect with “太⤳黃⤻太⤳黃―” or “仲-⤳太⤳(黃太)黃―”, proceed sequentially, and then end with a leisurely shake, leaving lingering feelings. This can be said to be the unique ‘ending method’ of the Witnaepoje, and it conveys a relatively innocent and leisurely feeling.
Fourth, because the middle and final verses of Namchangjireumsijo are set to the melody of Gyeongje Pyeongsijo, high notes(潢ㆍ汰) and sokcheong() appear in the middle verse(2nd verse) and final verse(1st verse). However, the difference here is that the Witnaepoje is loud and clear in the high notes(潢ㆍ汰ㆍ㳞).
Lastly, the Witnaepoje shows a unique flow in the melody progression. For example, Adds “南” to make a sequential progression as a structure(潢-南-林-仲) of the pyeongjo.
As such, we were able to confirm that the Witnaepoje Namchangjireumsijo shows distinct differences from its original form, Gyeongje, and from the Aratnaepoje, which is in the same inner circle, in terms of its unique rhythm, melody structure, and singing method. These factors seem to be because the Witnaepoje(Seopanje) independently reconstructed the melody in the process of initially accepting Gyeongje, reflecting the easygoing and gentle temperament of the old Seosan region scholars. In addition, it is understood that in the process of being passed down, despite belonging to Hyangje, it was not influenced by Seogamje, so it was able to main...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