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하이테크 산업 내 시장 진입전략 비교 연구 : 기업 사례를l 중심으로 = A comparison study on market entry strategy in high-tech industry : Focusing on business case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4
작성언어
-주제어
KDC
325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1-76(26쪽)
제공처
하이테크 산업은 기술혁신, 시장의 불확실성, 고객기반의 External network, 고객니즈의 다양화 등으로 인하여 타산업에 비해서 경쟁구도가 복잡한 양상을 띄고 있다. 즉, 하이테크 시장 내에서는 리더가 뒤바뀔 수 있는 상황이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경쟁의 기반을 마련하는 효과적인 시장진입전략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서는 하이테크 산업 내에서 기업간 경쟁 혹은 경쟁우위를 위해서 시장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시장 진입전략이 달라질 수 있음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시장을 크게1)신규시장과 경쟁시장2)으로 구분하고 도메인을 하이테크산업내에서의 동종 및. 이종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도메인 구분에 따라 단일기업 및 복합기업으로 구분됨으로써 각 영역의 시장진입전략을 하이테크기업들의 사례에 대해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동종 도메인에서의 기존시장 진입전략은 시장진입 Timing에 기반한 자원/역량을 확보하여 비즈니스 모델을 수립 및 실행을 통하여 신수요 창출과 동시에 시장에 입성해야 하고, 신규시장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자사 보유 역량/자원이 부족하더라도 시장진입 Timing을 고려하여 시장에 진입하고 비즈니스 활동을 통해 자원/역량을 레버레징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이종영역의 도메인에서 시장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자원/역량을 확보하고 이를 기반으로 시장진입전략을 구사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더보기There are a lot of factors that affect the mainstream of the high-tech industry, which also generate intricate aspect of the industry where a few market leading companies are easily replaced. Technology innovation, market uncertainty, external network based on customer, and variety of customer needs are considered as those factors. Therefore, effective market entry strategies are required to lay firm foundation for fierce competition. In this study, we have tried to ensure what kind of successful market entry strategies are needed in order to hold a lead in the high-tech industry and maintain it predominating over other numerous companies. First, for analysis, the market was separated into two; new market and existing (incumbent) market. Second, all high-tech compani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domains, which were divided into stand-alone and complex companies. Based on the categorization, high-tech market entry strategies of market leading companies were thoroughly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this research, we had implications as following: Existing market entry strategy in the same domain should develop Time to Market strategy based on resource/capacity for creation of new customer needs including unmet needs. In new market entry case, even if the company has a lack of resource, it should entry market with market entry timing. In different domain case, a complex company should obtain resource/capability before entering market.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