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북한 문학의 전쟁과 행복 -1950년대 소설을 중심으로 - = The Korean War and Representations of “Happiness” in 1950s North Korean Literature
저자
권보드래 (고려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447-481(35쪽)
제공처
‘행복’은 북한 사회의 이념적ㆍ도덕적 토대를 이루고 있는 가치 중 하나다. 이 논문은 북한에서 강요될 뿐 아니라 공유되는 ‘이상한 행복’의 기원을 1950년대로 소급하고, ‘사회주의 건설 투쟁에서의 행복’과 ‘사회주의 건설 이후의 행복’이 갈등ㆍ공존하는 가운데 점차 전자가 우세종이되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했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한국전쟁기의 남북한 삐라를 비교하면서 ‘행복’의 관념과 정서가 선전전ㆍ심리전에서 사용된 양상을 살펴보고, 이어 1950년대 북한 문학에서 ‘행복’이 표제화된 소설(황건의 「행복」 등)과 소련 문학 번역작 중 ‘행복’을 표제로 삼은 소설(빠블렌꼬의 『행복』과 할렘스끼의 「행복」)을 대상으로 하여 ‘행복’의 (재)의미화 과정을 고찰했다. 특히 한국전쟁으로 인한 상실ㆍ희생을 이념적으로 보상하고 서사적으로 의미화하는 데 있어 제2차 대전 배경 소련의 소설ㆍ영화가 중요한 참조점이 됐다는 사실을 밝힘으로써, 북한에서 ‘2차 대전≒한국전쟁이라는 세계사적 의식’이 사회주의적 세계성을 중심으로 구축되었다는사실을 논했다. 아울러 ‘사회주의 건설 투쟁에서의 행복’과 ‘사회주의 건설 이후의 행복’을 각각부자 또는 형제 사이의 남성적 세대 갈등으로 서사화한 사례 및 ‘공적 행복’과 ‘사적 행복’을 젊은부부 사이 젠더 갈등의 모티프로 서사화한 사례를 검토함으로써 1950년대에 북한에서 ‘행복’이다양한 해석적 긴장 속에 있었음을 조명하고, 마지막으로 석윤기 소설을 통해 1960년대 초ㆍ중반 한때 ‘행복’의 통합적 해석이 형성되는 듯했으나 뒤이은 체제 위기 속에서 그 성과가 계승되지 못했다는 사실을 보여주고자 했다.
더보기“Happiness” is one of the core values that constitute the ideological and moral foundation of North Korean society. This paper traces the origins of the peculiar notion of happiness, which can be attributed back to the 1950s. I examined the process through which “happiness in the struggle for socialist construction” and “happiness after socialist construction” came into conflict and coexistence, ultimately leading to the predominance of the former. Specifically, first I compared propaganda leaflets from North and South Korea during the Korean War to analyze how the concept and emotions of “happiness” were utilized in psychological and propaganda warfare. I then investigated the (re)semanticization of “happiness” in North Korean literature of the 1950s, focusing on the novels that explicitly feature happiness in their titles—those of Hwang Geon, Byeon Hui-geun, Kim Buk-hyang as well as Soviet literary translations that emphasize happiness, such as Pavel Pavlenko’s Happiness and Harlemzky’s “Happiness”.
In particular, this study reveals that Soviet novels and films set against the backdrop of World War II served as crucial reference points for ideologically compensating for and narratively signifying the losses and sacrifices caused by the Korean War. I argue that a historical consciousness equating “World War II ≒ the Korean War” was constructed as part of socialist internationalism.
I also explored cases in which the tension between “happiness in the struggle” and “happiness after socialist construction” was narrated through generational conflicts between father and son or between brothers, as well as cases in which the conflict between “public happiness” and “private happiness” was framed through gender conflicts within young married couples. By highlighting the interpretive tensions surrounding happiness in 1950s North Korea, this study ultimately seeks to demonstrate, through an analysis of Seok Yun-gi’s novels, that although a new synthetic concept of happiness emerged in the early to mid-1960s, it was not sustained amid the subsequent systemic crisi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