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중국의 역사 교양교육 속 중화민족 다원일체론(多元一體論) 강화의 속내 - 『清代國家統一史』에 나타난 청대사(清代史) 인식을 중심으로
저자
김준영 (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377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32(28쪽)
제공처
중국정부는 중화민족 다원일체론을 강조해 중화민족 공동체를 더욱 공고히 만들 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국정부는 2017년부터 중등 교과서를 시작으로 2021에 는 초중고 전 과정에 국정교과서를 채택해 역사교육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2024 년에는 이러한 국정화 기조를 더욱 확대하여 고등교육까지 적용해 실시하고 있다. 대표적인 예가 바로 『중화민족공동체개론』을 대학의 필수 교양 교과목으로 삼았 고, 중화민족공동체론을 교육하는 대학의 학과 개설까지 이루어졌다. 이러한 민족 주의 강화 움직임은 내부 결속에 그치지 않고, 향후 주변국과 역사 분쟁으로 이어 질 요소가 산재해 있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중국역사연구원에서 편 찬한 『清代國家統一史』를 통해 중국정부가 중화민족 다원일체론을 어떻게 역사적 으로 증명하고 교육하는지 분석해 보고자 한다. 『清代國家統一史』를 분석 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이 책이 중국의 국책 연구기관인 중국역사교육원에서 편찬한 서적이기 때문이다. 중국역사교육원은 청사편찬위원회가 20년간 준비해 온 『청사』의 심의를 맡은 연구기관이다. 그런데 이 기관에서 『청사』 출판을 보류한 이후 본서를 발간했기 때문에 세간의 이목이 더욱 집중되었다. 즉 『통일사』는 『청사』 출판을 보 류한 정부의 의중이 반영되어 있기 때문에 더욱 중요한 분석 대상이다. 두 번째 이 유는 중국 정부가 중화민족의 통일적 공동체를 주장할 때 한족과 다른 소수민족 간의 약한 연결고리를 보완하는 매개체로 청조의 다민족 국가체제를 활용하고 있 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청조가 발원한 동북지역은 우리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 는 역사 현장으로 동북지역에 대한 역사 서술과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더보기The Chinese government has emphasized the pluralistic unity of the Chinese nation to further consolidate the unified community of the Chinese people. To this end, since 2017, China has adopted a national curriculum for history education, starting with the secondary school curriculum, and in 2021, the entire K-12 curriculum. And in 2024, this nationalization will be further expanded to include higher education. A typical example is that “Introduction to Chinese Ethnic Community” was made a compulsory liberal arts education in universities, and a university department was established to teach Chinese ethnic community theory. China’s move toward greater nationalism is not just an attempt at internal cohesion, but is fraught with elements that could lead to future historical conflict. Based on these issues, this paper will analyze the History of National Unification in the Qing Dynasty compiled by the Chinese Academy of History Research to analyze how the Chinese government proves the theory of ethnic Chinese pluralism through historical examples and educates the public about it. The first reason we chose to analyze History of National Unification in the Qing Dynasty is that it was compiled by the Chinese Academy of History, a stateowned research organization. The Chinese Academy of History was the research institute entrusted with the deliberations of the Qing History, which the Qing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had been preparing for 20 years. However, the organization attracted attention because it published the History of National Unification in the Qing Dynasty after withholding the publication of the Book. In other words, History of National Unification in the Qing Dynasty is even more important to analyze because it contains the intention of the Chinese government to withhold the publication of the Qing History. The second reason is that the Chinese government uses the Qing dynasty’s multiethnic state system as a vehicle to compensate for the weak links between Han Chinese and other ethnic minorities when asserting a unified Chinese community. Finally, the Northeast, where the Qing Dynasty originated, is a historical site that is directly related to us, and we need to pay close attention to how history is being written and taught about the Northeast.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