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의 약물치료에 대한 일반 대중의 인식 = Public Perspectives on Pharmacological Treatment of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Objectivezz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1) public knowledge and perceptions about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and 2) factors influencing the public’s decisions to adhere to ADHD pharmacotherapy.
MethodszzIn this study, 396 participants responded to the internet survey regarding their experiences, beliefs and treatment preferences about ADHD.
Resultszz252 respondents (63.6%) were reluctant to pharmacological treatment of ADHD. The respondents chose the functional impairment of the brain as the main cause of ADHD were favorable to pharmacological treatment and scored significantly high on the ADHD Knowledge Questionnaire. On the other hand, the respondents who regarded ADHD as an overly active personality rather than a disease were skeptical to pharmacotherapy and scored significantly low. The respondents who were acquainted with someone who had been diagnosed with ADHD perceived themselves relatively well informed about ADHD. However,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the degree of knowledge of ADHD was not correlated with the objective score of the ADHD Knowledge Questionnaire.
ConclusionzzThe public is not well informed about ADHD and its treatments. Culturally appropriate psychoeducational strategies based on the media and the internet are needed. Providing biomedical conceptualization of ADHD to the public may aid with treatment decisions and promote adherence to pharmacological treatment.
본 연구에서는 ADHD에 대한 대중의 인식과 그들이 ADHD의 약물 치료를 선택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파악하기 위하여 인터넷 설문 조사에 응답한 39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응답자들이 ADHD에 관한 지식을 얻은 주요 경로는 신문, 방송과 같은 대중 매체와 인터넷으로 나타났다. 3분의 1 이상 (36.6%)의 응답자들이 ADHD의 주요 병인으로 ‘부모의 양육태도’를 선택하였다. ADHD를 진단 받더라도 약물을 사용을 하지 않겠다고 대답한 경우는 63.6%였다.
ADHD의 병인으로 ‘뇌기능장애’를 선택한 응답자들은 그 외의 병인을 선택한 경우에 비하여 약물요법에 호의적이었으며 ADHD에 관한 지식을 측정하는 문항에 대한 평균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반면에 ADHD는 질병이 아니라 과도하게 활동적인 성격이라고 대답한 응답자들은 약물요법에 비호의적이었으며 지식을 측정하는 문항에 대한 평균 점수가 유의하게 낮았다.
본인이나 주변의 인물 중에 ADHD를 진단 받은 인물이 있는 응답자는 본인이 ADHD에 대하여 비교적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본인이 주관적으로 평가하는 ADHD에 대한 지식의 수준과 객관적으로 평가한 실제 지식의 수준은 상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ADHD 아동에게 적절한 진단과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대중을 대상으로 ADHD의 생물의학적 병인론을 바탕으로 한 교육이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대중매체와 인터넷을 활용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이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19 | 평가예정 |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12-10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Journal of Psychopharmacology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19 | 0.19 | 0.1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7 | 0.25 | 0 | 0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