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임의제출된 휴대폰의 압수 문제 = Seizure Problem of Voluntarily Submitted Cell Phone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61-187(27쪽)
제공처
The mobile phone is an aggregate of privacy and has become a personal necessity. If a mobile phone is voluntarily submitted, it is urgent to protect the privacy and other rights of individuals. Accordingly, the issue of eligibility of the submitter and the scope of confiscation of the information in the information storage medium are problematic. Seizure without a warrant based on voluntary submission is based on the autonomy of the submitter, so the scope of seizure should take priority over the intention of the submitter, and the investigative agency cannot arbitrarily speculate and regard it as a lump sum submission. If the intention of the submitter is unclear or unknown, it must be strictly interpreted for the benefit of the suspect, and the subject of confiscation is limited to information on the specific criminal charges that motivated the submission, and cannot include information related to this.
Voluntary submission leads to seizure, and since seizure is also an investigation, criminal charges must be premised. Arbitrary submission without criminal charges is not permitted as a response to a casting-type investigation or a general warrant. Therefore, in the case of collective submission, not all information existing in the information storage medium is subject to seizure, but at the time of submission, the criminal suspicion that motivated the submission and related information are subject to seizure. In particular, when the victim submits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uspect's mobile phone, the Supreme Court and the majority theory argue that the scope of confiscation is based on the fact that the victim's submission is against the suspect's will and the protection of the suspect's privacy and other personal rights. It is considered that it is limited to information related to the alleged crime. But it is reasonable to see that this is limited due to the result of voluntary submission not premised on criminal charges.
Since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mobile phone is mixed with information related to the crime and irrelevant to the crime, the suspect's right to participate in selec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alleged crime must be guaranteed, in this case, the suspect, who is the actual seized, not the formal seized, should be the subject of the right to participate.
휴대폰은 사생활의 집성체이며 개인의 필수품이 되었다. 휴대폰이 임의제출된 경우 개인의 사생활 및 기타 권리보호는 절실하며, 이에 제출자의 적격성 문제와 정보저장매체내의 정보에 대한 압수의 범위가 문제된다. 임의제출에 따른 영장 없는 압수는 제출자의 자율성에 근거하므로 이에 대한 압수의 범위는 제출자의 의사가 우선되어야 하며, 수사기관이 함부로 추단하여 일괄제출로 확장해석 할 수 없다. 제출자의 의사가 명확하지 않거나 알 수 없는 경우에는 피의자의 이익을 위해 엄격히 해석하여야 하며, 압수의 대상은 제출의 동기가 된 특정범죄혐의사실에 관한 정보로 한정되며 이에 관련된 정보까지 포함할 수 없다.
임의제출은 압수로 이어지며 압수 또한 수사이므로 범죄혐의가 전제되어야 한다. 범죄혐의가 전제되지 않는 임의제출은 투망식 수사나 일반영장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허용할 수 없다. 따라서 일괄제출의 경우 정보저장매체내에 존재하는 모든 정보가 압수의 대상이 되는 것이 아니라 제출시 제출의 동기가 된 범죄혐의사실과 이에 관련된 정보가 압수의 대상이 된다. 특히, 피해자가 피의자 소유의 휴대폰 내에 저장된 정보를 일괄제출한 경우, 대법원과 다수설은 피해자의 제출이 피의자의 의사에 반한다는 점과 피의자의 사생활 기타 인격권의 보호를 근거로 압수의 범위가 제출동기인 범죄혐의사실에 관련된 정보로 제한된다고 보고 있으나, 이는 범죄혐의사실을 전제로 하지 아니한 임의제출의 결과로 인해 제한되는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휴대폰에 저장된 정보는 범죄유·무관 정보가 혼재되어 있으므로 범죄혐의사실과 관련된 정보를 선별함에 있어서 피의자 참여권이 보장되어야 하며, 이는 형식적 피압수자가 아닌 실질적 피압수자인 피의자가 참여권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