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선진사상사 맥락에서 본 한대 인성론 연구 -동중서 이론을 중심으로 = A Study of Theory of Nature in Han Dynasty in the Context of Intellectual History of Pre-Qin : Focusing on Dong Zhongshu’s Theory
저자
강지연 (국립창원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692-700(9쪽)
제공처
한 대철학자, 동중서는 맹자의 성선설을 이어받는 유학자라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제까지 저자가 검토한 바에 의하면 동중서는 맹자 전통보다는 고자, 순자 전통의 성(性) 개념을 발전시킨 학자이다. 문헌분석방법론을 통해 본고에서 동중서는 순자와 맹자이론이 가진 맹점을 지적하면서 자신의 이론을 발전시켰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동중서 이후로 후대 유학자들은 선, 혹은 악의 입장으로 모든 인간의 본성을 논하기보다, 이론을 더욱 세분화시킬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한나라 초(初) 황노학의 부흥을 체험하고, 통일된 제국 체제에서 자신의 역할을 찾고자 했던 한대 유가들은 인성론을 통해 인간을 어떻게 바꿀 것인가라는 철학적 문제를 논하였고, 이것을 왕권 확립이라는 정치적 주제와 연결시킨다는 점을 드러내었다. 저자 분석에 의하면, 동중서 이론 역시, 유학을 경학화하는 한(漢)대 지성사의 흐름에서 일관성을 지니고 있다.
더보기Dong Zhongshu is a Confucian scholar who inherited Mencius' theory of nature and goodness, and is known to have practiced the classics of Confucianism since the Han Dynasty. However, according to what we have reviewed so far, he is a scholar who developed the concept of nature in the tradition of Gaozi and Xunzi rather than that of Mencius. Through method of text-analysis, already, Dong Zhongshu developed his own theory by pointing out the blind spots in the theories of Xunzi and Mencius. In the case of Dong Zhongshu, humans are divided into three rather than viewed as one universal standard. Confucian scholars of the Han Dynasty, who witnessed the revival of Huang-Lao thought in the early Han Dynasty and sought to find their own role in the unified empire, were interested in how to change humans through human nature theory. In addition, his theory emphasizes the king's enlightenment and suggests the direction of the king's rule and so has a tendency to strengthen and rationalize his ruling authority, thus the political power of kings in rebuilding the ethical order of society. Emphasizing edification is a characteristic of Dong Zhongshu's theory of character, and this theory of Dong Zhongshu is consistent in the flow of Chinese intellectual history that converted Confucianism into religious Confucianism.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