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도덕적 상상력과 자아-정체성 - SF 내러티브 ≪정이≫의 알레고리적 이미지텔링 = Moral Imagination and Self-Identity: Image-telling of SF Narrative ≪Jung-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21-154(34쪽)
제공처
21세기 기술 문화는 과학을 응용하는 기술공학에서 기술을 응용하는 실천과학으로 관심이 이동하면서 과학의 개념을 재정의하도록 한다. 과학의 개념은 이론적 지식의 체계가 아닌 삶 속에서 그것의 실용적 효과와 의미로 해석된다. 따라서 행동을 통한 실천적 지식이 강조된다. 이런 측면에서 일상 세계의 경험을 통해 배우고, 실천하는 ‘과학적 태도’가 중요해졌다. 탐구 대상에 대한 개별 지식도 실제 삶에서 그 대상의 개념이 갖는 효과를 통해서 유의미하다. 과학은 내러티브 매체를 사용하여 탐구 대상 을 표현하고 설명하는데, 과학소설이 그 예가 된다. 최근 SF에 관한 관심은 문학의 영 역이 아닌 철학, 심리학, 신경과학, 사회과학, 문화연구, 물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나 타나며, SF가 탐구의 도구로써 활용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찰스 퍼스의 연속성 이론에 기반을 둔 진화적 우주론의 관점에서 의식과 자아-의식을 살펴 보고, 기호적, 실용적 접근을 통해 자아-정체성 개념과 그것이 함의하는 도덕적 상상력 과 창조성을 고찰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신체와 정신 사이의 관계를 다룬 SF 영화 내러티브 <정이>의 알레고리적 읽기와 해석을 통해, 폴 리쾨르가 주장하는 정체성의 두 모드인 동일성(sameness)과 자아성(selfhood)에 관해 논하며, 자아-정체성과 불멸성 의 개념을 고찰한다. 이로써 리쾨르의 자아-정체성 개념이 퍼스의 연속성 원리에 기초 한 이타성(altruism) 개념과 연동되어 있음을 확인한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행위주체 (agent)로서의 자아 개념을 토대로 “―처럼 보고”, “―처럼 존재하는” ‘내러티브적 상상 력’을 통한 도덕적 창조성이 자아를 타자로 여기고, 따라서 서로가 서로에게 타자로 존재하는 공통의 정체성(teridentity)을 형성하는 조건이 됨을 보여준다.
더보기21 century technological culture brings us to redefine the concept of science as the center of attention moves from technological engineering as applied science to applied technology as practical science. It is interpreted that the concept of science is not a theoretical system of knowledge but its practical effect and meaning in life. Accordingly, practical knowledge by way of action is stressed. In this regard, the focus turns to a ‘scientific attitude’ through learning and practicing from experience in everyday life. Also, individual knowledge of an object under inquiry becomes meaningful when the concept of the object has an effect in life. Science expresses and explains the object by means of narrative medium as in scientific fiction. Recently, growing attention to SF is no longer limited to literature but extended to the areas of philosophy, psychology, neuroscience, social science, cultural studies, physics, etc. We can thus see that SF is used for an instrument of inquiry. This paper aims to look into consciousness and self-consciousness from the perspective of evolutionary cosmology based on Charles Peirce’s theory of continuity and to examine the concept of self-identity and its implications on moral imagination and creativity from a semiotic and pragmatic approach. To do this, two modes of identity designated by Paul Ricoeur, namely, sameness and selfhood, are discussed through allegorical reading and interpreting of SF film narrative <Jung-E> which deals with the relation between body and mind, focusing on the concepts of self-identity and immortality. In doing so, it is confirmed that the concept of self-identity by Ricoeur is interlocked with that of Peirce’s altruism based on continuity. Consequently, this paper shows that moral creativity through ‘narrative imagination’ by means of ‘seeing as if’ and ‘being as if’ based on the concept of agential self is a condition for forming teridentity in which ‘I’ become other for myself, thus ‘I’ and ‘you’ become other for each other.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