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생태 재난 재현을 통한 ‘피해’와 ‘극복’의 기억 방식 연구 - 태안군 <유류피해극복기념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Ways of Remembering ‘Damage’ and ‘Overcoming’ through Representation of Ecological disasters: Focusing on the case of <‘TaeAn’ Oil damage overcoming Memorial Exhibition>
저자
유병준 (안동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91-120(30쪽)
제공처
본 논문은 생태 재난 재현의 효과에 대해 다룬다. 논의의 구체화를 위해 태안군 <유 류피해극복기념관>을 통합체⋅계열체의 차원에서 분석하여 삼성중공업-허베이 스피 리트 호 원유유출사태의 기념 방식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유류유출 사태로 인한 ‘피 해’는 생태계 파괴로 이어지는 태안 어민들의 생업 곤란과 주민들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등으로 설명되는 ‘인간’ 생태계의 파괴를 의미했다. 또한 ‘극복’에 대한 문제는 해양 생태계를 둘러싼 사람들의 어업과 생활의 어려움을 해결해나가는 것으로서 재현 되고 있었다. 즉 해양 생태 재난의 문제를 인간에게 주어지는 ‘피해’와 이를 ‘극복’해나가는 것과 결부시켜 논의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유류피해극복기념관>은 ‘생태 재난’에 대한 문제를 다룸에도 불구하고, ‘인간중심주의’적인 가치를 (재)생산하고 있 는 양상을 띄고 있었다.
제시된 재현의 문제는 인간-자연의 이분법적인 사고를 강조하는 효과를 지닌다. 즉 자연을 인간의 욕망 충족을 위한 도구로 보는 ‘근대 계몽주의’ 담론이 (재)형성되고 있 는 것이다. 그 구체적인 양상은 국가ᆞ지역적 위기를 국민들이 해결해야 한다는 근대 국가주의와, 경제적 활성화를 최우선 가치에 두는 산업자본주의에 관한 (재)생산의 징 후로서 나타난다. 이는 기념관을 통한 원유유출사태의 재현으로서 강조되는 것이 ‘123 만 자원봉사자’와 ‘우리가 지켜내야 할 환경 자원’이라는 것에서 기인한다. 이러한 점 을 미루어 보아, ‘기념’이라는 것의 주체와 객체에 대한 논의, 즉 무엇을 위해 어떻게 기념할 것인지에 대한 문제를 다룰 것이 요구된다. 나아가 인간중심주의의 사고를 넘 어선 생태를 바라보는 관점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촉구된다.
This dissertation deals with the effects of ecological disaster representation. In order to materialize the discussion, <‘TaeAn’ Oil damage overcoming Memorial Exhibition> was analyzed at the level of syntagmatic and paradigmatic to examine the commemorative method of the Aftermath of the Samsung Heavy Industries-Hebei Spirit Oil Spill. As a result, the ‘damage’ caused by the oil spill meant the destruction of the ‘human’ ecosystem, which was explained by the livelihood difficulties of Taean fishermen leading to the destruction of the ecosystem and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of the residents. Additionally, the problem of ‘overcoming’ was being represented as solving the difficulties of fishing and living for people surrounding the maritime ecosystem. In other words, the issue of maritime ecological disasters is being discussed in connection with the ‘damage’ inflicted on humans and ‘overcoming’ this. In this way, despite dealing with the issue of ‘ecological disaster,’ the <Oil Damage Overcoming Memorial Exhibition> was (re)producing ‘anthropocentric’ values.
The problem of representation presented has the effect of emphasizing the dichotomous thinking of humans and nature. In other words, the ‘modern enlightenment’ discourse that views nature as a tool for satisfying human desires is being (re)formed. The specific aspect appears as a symptom of modern nationalism, which requires the people to solve national and regional crises, and (re)production of industrial capitalism, which places economic revitalization as the top priority.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1.23 million volunteers’ and ‘environmental resources that we must protect’ are emphasized as a representation of the crude oil spill through the memorial exhibition. Considering this,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subject and object of ‘commemoration’, that is, to deal with the issue of what to commemorate and how to commemorate it. Furthermore, a change in perception of ecology beyond anthropocentric thinking is urged.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