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루터 종교개혁의 유산과 한국 개신교의 과제 = Legacies of Martin Luther’s Reformation and Tasks of Korean Protestantism
저자
옥성득 (University of California at LA)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75-118(44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After 20 years (1995-2004) of stagnation, Korean Protestantism entered another 20 years (2005-2025) of rapid decline. It is more corrupt and lamentable than the medieval church in the 1520s. After confirming the five principles of Martin Luther’s Reformation, this paper describes their positive legacy, points out their negative side, and then discusses the task of the reformation of Korean Protestantism.
The first principle of Luther’s Reformation is “faith alone” (sola fide). The principle of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s related to the soteriological principle of “grace alone” (sola gratia), but “sola fide” formed the modern individual, new humanity. Its positive legacy is the discovery of the free individual before God and the total restoration of fallen humanity. This transformed individual is the basis for the reformation of the church. Its negative legacy is the development of private justification, conflicts with Roman Catholicism, and secular freedom from Christianity. Korean Protestantism needs to recover the public dimension of justification instead of the private one, accumulate social capital beyond doctrinalism, and make Korean theology beyond Western theology.
The second principle is the Bible alone (sola scriptura). This is on ecclesiology rather than biblical theology. Its positive legacy is anti-authoritarianism and anti-traditionalism, Christ-centered cohesion of the churches, openness to diverse interpretations of the Bible, and the development of indigenous Christian culture. The negative legacy is confessionalization, control of religions by the state, nuda scrpitura, solo scrpitura, biblicism, and the development of the corporate church. The principle of sola scriptura calls for the Korean church to go beyond denominationalism and private corporate churches to become the missional church. The third principle is the priesthood of all believers. Its first positive legacy is that every church member has the responsibility and office of the ministry. The others are the respect for the function of the clergy, the importance of small groups, and the democratic political system of the church. This legacy urges the Korean church to overcome clericalism and patriarchalism. The fourth is the two kingdoms theory, which demands post-nationalism and post-nationalism, following Bonhoeffer’s political theology, which progressed from Luther’s theory. The last principle is the institutionalization of diakonia in Luther’s common coffers and common education. By progressively inheriting this legacy, the Korean church will be able to break free from mammonism and philanthropy.
20년(1995~2004) 정체기를 지나 20년(2005~2025) 급 쇠퇴기를 경험하고 있는 한국 개신교는 루터 당시의 중세 교회보다 더 타락했다. 이 잃어버린 40년을 되돌아보면서, 개신교의 정체성과 그 유산을 확인하고, 한국 개신교의 개혁을 위한 대안을 검토할 때이다. 이를 위해 이 글은 마틴 루터의 종교 개혁의 5대 원리가 가진 긍정적 유산과 부정적 유산을 분석한 후, 이를 현재 한국 개신교에 적용하여 개혁을 위한 과제와 방향을 제시한다. 각 항은 루터와 종교개혁의 원리가 가진 긍정적 유산을 서술하고, 문제가 되는 부정적 유산을 지적한 후, 한국 교회를 위한 과제와 논점을 제시하는 순서로 구성되어 있다.
루터 종교개혁의 첫째 원리는 오직 믿음(sola fide)이다. 이신칭의의 원리는 ‘오직 은혜’(sola gratia)로 구원에 이른다는 구원론의 원리와 함께 가지만, 동시에 근대적 개인론을 형성한 인간론이다. 그 긍정적 유산은 하나님 앞에서 자유로운 개인의 발견이며, 전적으로 타락한 인간성의 전적 회복이다. 이 변화된 개인이 개혁의 기초가 된다. 그 부정적 유산은 이신칭의가 사적인 칭의로 타락한 것이요, 가톨릭교회와 불화하는 원리가 되었으며, 종교로서의 기독교로부터의 자유도 포함한다는 점이다. 이 원리와 유산이 한국 교회에 주는 의미와 과제는 사적 자아를 넘어 공적 자아의 형성, 교리주의를 넘어 사회자본이 있는 신용할 수 있는 교회의 형성, 서구 신학을 넘어 한국 신학을 형성하는 것이다.
둘째 원리는 오직 성경(sola scriptura)이다. 이는 성경론이 아닌 교회론이다. 그 긍정적 유산은 반권위주의와 반전통주의, 그리스도 중심의 응집력, 성서 해석의 다양성 인정, 토착적인 기독교 문화의 발전이다. 이 원리의 부정적 유산은 교파화와 국가의 종교 통제, 교회의 유일 권위로서의 성서(nuda scrpitura, solo scrpitura)와 성서 문자주의(biblicism)이며, 기업 교회의 발전이었다. 솔라 스크립투라 원리는 한국 교회가 교파주의와 사적인 기업 교회를 넘어 선교적 교회로 나갈 것을 요청한다. 셋째 원리는 만인 사제설로 이는 목회론이다. 그 긍정적 유산은 목회자의 직분은 모든 교인에게 주어졌다는 회중주의, 목회자의 기능 존중, 경건한 작은 무리의 중요성, 교회의 민주적 정치 제도 등이다. 이 유산은 한국 교회에 교직 신분주의와 가부장주의의 극복을 과제로 제시한다. 넷째는 루터의 두 왕국론으로, 이를 발전적으로 해석, 실천한 본회퍼의 정치 신학을 따라 탈국가주의와 탈민족교회론을 요청한다. 마지막 원리는 루터의 공동 금고와 보통교육 실시에 나타난 디아코니아의 제도화로서, 이 유산을 계승함으로써 한국 교회는 맘몬주의와 자선주의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