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에 따른 치아파절빈도 및 양상 분석 = The analysis of fracture frequency and patterns of teeth according to the Korean disease classification code
저자
양내영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 교실) ; 손아연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 표건우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 이경제 (조선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구강회복응용과학지(Journal of Dental Rehabilitation and Applied Science)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90-98(9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목적: 본 연구는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eases, KCD)에 따른 영구치 파절의 발생빈도 및 양상을 통계적으로 분석하고, 파절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본 연구는 조선대학교치과병원 2012년 1월부터 2023년 8월까지 전자의무기록을 통해 영구치 치아파절 환자 13,698명을 선정하여, 주진단코드를 기준으로 법랑질만의 파절(S02.52), 치수침범이 없는 치관의 파절(S02.53), 치수침범이 있는 치관의 파절(S02.54), 치근의 파절(S02.55), 치관을 포함한 치근의 파절(S02.56), 치아의 다발성 파절(S02.57) 치아의 상세 불명의 파절(S02.59)의 7가지 파절 양상으로 분류하였다. 파절빈도와 파절양상을 연령별, 성별, 치아위치에 따라 카이제곱검정을 통해 통계 분석하였다.
결과: 남성이 여성보다 치아파절 발생빈도가 높았으며, 연령별로는 50대에서 가장 많은 파절이 발생하였다. 20대 남성전치부에서 치수침범이 없는 치관파절이 빈번하게 하게 발생하였으며, 60대 남성 구치부에서 상세불명의 치아파절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상악전치부와 하악전치부에서 치수침범이 없는 치관파절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상악구치부와 하악구치부에서도 치수침범이 없는 치관파절이 빈번하였다. 치수침범이 없는 치관파절은 하악구치부에서 가장 높은 발생빈도를 보였고, 상세불명의 치아파절은 상악구치부에서 우세하게 관찰되었다(P < 0.001).
결론: 치아파절의 빈도는 연령, 성별, 치아종류 및 악궁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statistically evaluate the incidence and patterns of permanent tooth fractures, as classified by the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eases (KCD), and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fracture occurrence.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electronic medical records of 13,698 patients diagnosed with permanent tooth fractures at Chosun University Dental Hospital between January 2012 and August 2023. Fractures were classified into seven categories according to their primary diagnostic codes: enamel fracture (S02.52), crown fracture without pulp involvement (S02.53), crown fracture with pulp involvement (S02.54), root fracture (S02.55), crown-root fracture (S02.56), multiple fractures (S02.57), and fractures of unspecified type (S02.59). The frequency and distribution of each fracture type were analyzed by age group, sex, and tooth location using chi-square tests. Results: Overall, males exhibited a higher fracture incidence than females, with the greatest number of fractures occurring in patients in their 50s. In males aged 20 - 29 years, crown fractures without pulp involvement were significantly overrepresented in the anterior. In males aged 60 - 69 years, fractures of unspecified type predominated in the posterior region.
Across all patients, crown fractures without pulp involvement were significantly more frequent in both the maxillary anterior and mandibular anterior regions, and also common in the maxillary posterior and mandibular posterior regions. Specifically, the mandibular posterior region showed the highest incidence of crown fractures without pulp involvement whereas unspecified fractures were most prevalent in the maxillary posterior region (P < 0.001). Conclusion: The incidence and pattern of permanent tooth fractures vary significantly according to age, sex, tooth type, and dental arch."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