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화랑세기》 에 기록된 신라 화랑의 무도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26(26쪽)
제공처
무도인의 정신적인 표상으로서 신라 화랑에 관한 자료는 《화랑세기(花郞世記)》에 기록된 내용이 가장 많다. 김대문이 8세기에 저술한 《화랑세기(花郞世記)》에 나타난 신라 화랑의 무도를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무도와 관련성이 있는 용어는 격검(擊劍) 5회, 검(劒) 3회, 무사(武事) 4회, 검술(劍術) 1회, 검도(劍道) 2회, 말 타기(馬術, 馬) 4회, 활쏘기(弓術, 弓) 3회, 무도(武道) 1회, 베기 2회, 병장기(兵仗器) 1회, 편력(遍歷) 1 회, 병서(兵書) 1회 등으로 나타났다. 병서를 제외하고는 모두 신체적인 활동으로 나타났다. 특히 검과 관련된 신체활동은 다양한 의미로 설명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무도라는 용어가 처음으로 나타나는 시기는 예원공 (606~ 673)시대이며, 무도의 개념이 형성된 시기는 지증왕(437~514)과 법흥왕(재위: 514~540)시대부터 행해졌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다. 당시의 무도는 일본무사도 구현체를 의미하는 무도와 내용적 의미가 다르고, 신라의 화랑과 낭도들이 무예를 함에 있어 지켜야 할 도리 정도의 개념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서양의 기사도의 개념과 유사한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구체적인 화랑의 무도 활동에 대해서는 상세히 설명되어 있지 않았지만, 말 타기, 활쏘기, 검술, 병장기를 활용한 무기술, 체력단련을 위한 편력 등이 행해졌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특히, 검술에 관해서는 다른 무도와는 다르게 자세한 내용이 분석되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일반적이고 단순한 동작을 의미하는 검, 두 번째, 기술적인 동작을 의미하는 검술, 세 번째, 상대와 서로 겨루는 형태의 격검, 네 번째, 검을 사용할 때에 해야 하는 예절 이나 도리를 의미하는 검도, 다섯 번째, 베는 기술을 의미하는 세법(베기술) 등이 분석되었다. 무엇보다 중요한 핵심내용은 신체수련과 함께 인간의 내면적 도덕성 함양을 존중하고 육성하였다는 점에서 현대의 무도와 1500년 전, 신라시대를 살았던 회랑들의 무도 활동에서 공통점을 찾을 수 있었다.
더보기Shilla Dynasty Hwarang is the most often recorded on the data content of the Hwarang-Segi as a mental representation of Martial Artist. Martial Arts of Shilla Dynasty Hwarang is a result of the following appeared in the Hwarang-Segi written in the 8th century Kim, Dea-Mun. First the term is associated with Martial Arts, Gyeok-Geum(擊劍) 3rd, Geum(劒, sword) 3rd, Musa(武事, about a martial arts fight) 4th, Geum-Sul(劍術, fencing) 1st, Geum-do(劍道, ken-do) 2nd, Masul(馬術, horse riding 4th, Gung-sul(弓術, archery) 3rd, Mu-do(武道, martial arts) 1st, Beagi(cut skill) 2nd, Byongjanggi(arms) 1st, Pyeon-lyeok(遍歷, travels) 1st, Byong-seo(兵書, book on military science) 1st. Except in physical activity was a Byong-seo. In particular, the swords could be found relating physical activity are being described as a variety of meaning. Martial Arts is the word that appears when the Yewon(禮元, 606~ 673) to the beginning. The time of the formation of the concept of martial arts could be estimiated from the age of king Jijeung(437~514) and King Beopheung(being upon the throne: 514~540). Shilla’s martial arts, different meanings have martial arts of the Japanese. As a martial art of Silla to keep the concept of degrees, respectively. This was judged to be similar to Western concepts of chivalry. Other than physical activity has been demonstrated more about Geum-Sul(fencing). The information is as follows. First, a common and simple operations, meaning the Geum. Second, technical operations, meaning the Geum-sul. Third, Gteok-geom of a relative the other forms of competing. Fourth, Geum-do is the manners and degrees, which means fencing when using a sword to. Fifth, Sae-Beob which means cutting technology. What is more important than physical training, along with the core content of human respect and to foster the cultivation of inner moral sense can be found in common with today's martial arts martial arts in 1500 from the previous Hwarang of Silla Dynasty.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