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辰韓의 對外交易과 斯盧國의 성장 = Chinhan’s trade with foreign and the Growth of Saroguk
저자
김지현 (고려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23-158(36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Chinhan(辰韓)’s trade is important part as it is connected to various opportunities that explain the growth process of the country. Previously, Inland transportation routes in Chinhan were reviewed only for Saroguk(斯盧國). The transportation route through the mountain path was understood as a advance in to there after the 4th century along with the national growth of Silla. However,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kuk(國 ; state or country), who existed in the Chinhan area, which was the old land of Silla, grew up in relation to their surroundings. This is because there were kuks in Chinhan that actively used the inland rout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ircumstances in which their experiences would have been absorbed after being subjugated to Saroguk.
In the first century, the trade between Chinhan and Chinese dynasty was showed pluralistic aspects such as using maritime or inland route according to each region.
Through the record about Saroguk’s subjugation of neighboring kuks in the “Annals of Silla(新羅本紀)”, it is possible to approach in detail the aspects how Chinhan society was reorganized and estimate the scale of these kuks. Sabŏlguk(沙伐國) in Sangju was a scale like large state(大國) that had jurisdiction over trade in the Sobaek Mountains and was administrate trade of various forces around it. In the 2nd century, Chinhan’s trading rights were divided into Saroguk at sea and Sabllguk at land, depending on the transportation route. it is possible to verify that trade rights were divided and supervised into respectively Saroguk and Sabŏlguk within Chinhan according to sea and inland routes from the second centuries.
However, the situation in which Chinhan’s trade rights were divided into two sides was changed in the mid and late third centry. Previously, Saroguk had the right to supervise only marine trade. Yet, around the middle and late third century, Saroguk absorbed the right of inland trade across mountain passes of Sobaek Mountains bysubjugating Sabŏlguk. As a result, Chinhan was able to form a unified structure of trade with Saroguk at the center. As the subjugation of Sabllguk was completed, Saroguk completed the expansion of the trade network throughout Chinhan. In this process Saroguk gained control of Chinhan’s trade, and Saroguk’s king soon appeared as King of Chinhan.
辰韓의 대외교역은 斯盧國의 성장과정을 설명하는 계기 중 하나이므로 중요하다. 그동안 辰韓의 내륙 교통로에 대해서는 斯盧國만이 검토 대상이 되었다. 고갯길을 통한 교통로의이용은 신라의 국가적 성장과 함께 4세기 무렵에나 이루어진 것으로 이해되었다. 하지만 新 羅의 故地였던 辰韓 지역에는 고갯길을 활발히 활용했던 國이 존재했다. 斯盧國이 그들을 복속한 뒤 육로 활용 경험까지 흡수했을 정황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辰韓과 중국왕조의 교역은 1세기 무렵부터 다원적인 형태로 이루어져왔다. 지역에 따라해상, 육상, 내지는 내륙의 수로 등이 이용되었다. 『三國史記』 新羅本紀에는 3세기 무렵까지斯盧國이 복속했던 주변국들에 대한 내용이 상세하다. 그중 1國인 沙伐國은 소백산맥 근처인 상주지역에 자리하고 있었던 大國 규모의 國으로서 일대의 교역을 관할하며 주변의 여러세력과 교통하고 있었다. 2세기 무렵 辰韓의 교역권은 교통로에 따라 해상은 斯盧國, 육상은沙伐國으로 양분되었다.
경주지역의 斯盧國이 상주지역의 沙伐國에까지 영역을 확장하게 되면서 辰韓 지역을 아우르게 되는 3세기 중반 이후, 기존에 沙伐國의 영향력 아래 활용되었던 고갯길 교통로에 점차 斯盧國의 통제가 미치기 시작했다. 3세기 말, 沙伐國에 대한 통합이 마무리됨에 따라 斯盧 國은 辰韓 전역의 교역망에 대한 확대를 마치게 되었고 이러한 과정 후에야 斯盧國은 辰韓의대외교역을 통제할 수 있게 되었다.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