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다문화 가족을 위한 한국인의 의·식·주 문화의식의 양상과 의미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004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87-311(25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이 연구는 다문화 가족을 위한 한국인의 의식주문화 의식의 양상과 의미를 고찰한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옷 문화를 통해서 본 한국인들의 품위의식을 고찰하였다. 한국인은 옷치레를 통해서 예의와 대인관계에서 품위를 지키기 위한 기본적인 행위로 간주하였다.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옷은 통과의례에서 중요한 상징성을 강하게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적절하게 그 의미에 따라 갖추어 주는 것도 중요한 품위유지의 한 방편이었던 것이다.
또한 찌개문화는 한 가족과 집단 구성원들이 끼리끼리의 집단의식을 공고히 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한 의식이라고는 볼 수 없지만 이러한 집단의식 속에는 우리를 통한 공동체의 이익을 개인의 이익보다 우선시함으로써 내집단의 공고화를 유도하고 있다고 보았다. 유난히 가족을 중요시하는 우리 한국인에게는 내 가족 우선주의 혹은 내 핏줄 최고 주의로 발전하여 혈통주의를 중요시 하고 있다. 이러한 가족주의는 집단주의를 배태시켰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온돌문화를 통해 본 위계의식을 살펴보았다. 우리나라의 주거문화에서 온돌은 아주 독특한 사상의 산실이라고 할 수 있다. 온돌은 사각으로 되어 있는 방에 따뜻함과 차가움을 동시에 제공해 줌으로써 가족구성원 사이에 위계질서를 만들게 해 준다. 따뜻한 곳은 아랫목이라 하여 나이 많은 연장자가 앉은 공간이며, 차가운 곳은 윗목이라 하여, 젊고 나이 어린 사람이 앉는 공간으로 규정화되어 있다. 온돌문화는 장구한 시간동안 우리 한국인들의 가치관을 형성하는 중요한 주거동간이 되었는데, 급격한 현대화가 진행되면서 가치관도 급격히 변해가고 있다.
따라서 우리 문화 속에 다문화 가족이 함께 적응하도록 의사소통을 확장하면서 우리문화를 주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생활의 지혜가 필요하다. 나아가 우리가 다민족의 문화를 주체적으로 이해하면서 다문화 간의 동질성과 우리문화의 정체성을 이해하면서 서로의 문화적 갈등을 해결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Korean cultural consciousness in traditional food, clothing, and shelter for an understanding of Korean Society by multi-cultural families. Firstly, I investigated Koreans’ sense of dignity revealed in the manner of wearing their clothes. Since clothes are very important symbol of courtesy and ceremonies in Korea, Koreans try to wear their clothes properly in special occasions. They regard clothing as a way of living in dignity. Secondly, I examined the communal sense related to the Korean special food called “jjigae.” Eating jjigae from a big pot together, Koreans can consolidate their affinity and confirm their sense of belonging as a family. Although this can cause some what exclusive group consciousness, yet this has a positive effect. Koreans value communal interest more than their personal profit as well as develop their community spirit based on the respect of family lineage and customs. Thirdly, I analyzed the sense of hierarchy in a family disclosed through Korean traditional floor heating system called “Ondol.” By burning wood in the kitchen, Koreans used to make food and heat their main living room called “Anbang.” In Anbang, there are two divided spaces: the cold upper place “Uitmok” and the warm lower place “Aretmok.” Elders often occupy the warm lower place close to the fireplace and young people sit on the cold upper place close to the door. This is a kind of ranking and treating people according to their age and status. Although the heating system has been modernized, this hierarchical sense of values still remains in the Korean culture.
As Korean cultural consciousness have developed according to these typical food, clothing, and shelter system, we need to understand our own culture for ourselves and we should make ourselves understood by multi-cultural families. Furthermore, we are expected to understand our unique culture and try to find it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ith others so as to solve each other’s conflicts. Right now, in Korea, there are no sufficient supporting system for women marriage migrants, who suffer from cultural differences, family relationship difficulties, and communication problems. Thus, we need to suggest an educational system for their adaptation and accommodation to the Korean society. An education of Korean cultural consciousness revealed in Korean traditional food, clothing, and shelter, can be an effective way to inform these immigrants in order to build harmonious and advanced multi-cultural Korean society.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2009-05-27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문화컨텐츠기술연구원 ->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33 | 1.33 | 1.2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8 | 1.15 | 1.463 | 0.26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