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 환자에서 좌심실 비대 유형에 따른 이완기능의 평가에서 Doppler Time Index의 의의 = The Role of Doppler Time Index for Evaluation of Left Ventricular Diastolic Function by Patterns of Left Ventricular Hypertrophy in Hypertensive Patient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Journal of Cardiovascular Imaging (J Cardiovasc Imaging)(Journal of Cardiovascular Ultrasound)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0
작성언어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06-213(8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Objective: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easily recordable, non-invasive Doppler time index correlates with left ventricular systolic and diastolic function. The aim of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significance of Doppler time index by patterns of left ventricular hypertrophy in
hypertensives patients.
Subjects and Method:This echocardiographic and Doppler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eft ventricular geometric shape (normal, concentric remodelling, concentric hypertrophy and eccentric hypertrophy) and diastolic function in a 87 patients
with essential hypertension and 55 normal subjects. Doppler time index was defined as the summation of isovolumetric contraction (ICT) and relaxation time (IRT) divided by ejection time
(ET).
Results:Among left ventricular geometric patterns in hypertensive patients, high prevalence of eccentric hypertrophy (32%). Except IVRT in concentric hypertrophic group, no difference
were found in Doppler determination of diastolic function between the geometric groups. The Doppler time index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IVRT and deceleration time (DT) of E wave. However, Doppler time index had 71% sensitivity and 89%specificity in assessment of diastolic dysfunction.
Conclusion:The Doppler time index was significantly correlate with Doppler index of mitral flow. But, this index can be a lesser sensitive indicator of pure diastolic dysfunction.
연구목적:
고령과 고혈압 환자에서의 생리적 적응으로 특징적인 좌심실 비대가 일어나며 이를 정상, 구심성 재구성,구심성 비대, 원심성 비대로 분류하여 이에 따른 임상양상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한편으로 수축기와 이완기기능을 반영하는(ICT+IRT)/E (Doppler time index, Tei index) 지표가 제시되여 수축기 및 이완기 장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고혈압 환자에서 경흉부 심초음파도를 이용하여 좌심실 유형에 따른 임상양상과 이완기 지표들의 차이 및 Doppler time index의 변화와 이를 이용한 이완기 장애 판별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8월부터 1999년 8월까지 본 병원 내과를 방문하여 심초음파를 시행한 40세 이상의 고혈압 환자 123명중 경증 이상의 판막 질환자, 심전도상 방실 전도장애, 우각 및 좌각 차단 같은 전도 장애가 있는 자, 국소 벽 운동 장애가 있는 허혈성 심 질환자, 수축기 기능 장애가 있는 환자를 제외 한 87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정상 대조군은 40세 이상의 성인으로 수축기 혈압이 140 mmHg 및 이완기 혈압이 90 mmHg이하인 5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American Society of Echocardiography의 권고에 따라 흉골연 단축 단면도의 좌심실 유두근 부위에서 좌심실의 수축기 및 확장기 내경과 심실 중격 및 후벽 두께를 측정하였으며 좌심실 질량 지수는 Devereux방식17)에 의해 좌심실 질량을 체표면적으로 나누어 산출하여 정상 대조군의 결과에 따라 상대적 심벽 두께가 0.45이하, 좌심실 질량지수가 120g/m2이하를 정상치로 하고(98 percent) 고혈압 환자의 좌심실 형태를 Ganau등3)의 분류에 정상 좌심실, 구심성 재구성, 구심성 비대, 원심성 비대로 구분하였다. 승모판과 대동맥판 Doppler를 기록, ICT, IRT, ET를 측정한 후 Doppler time index를 구하여 각 유형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좌심실 유형은 원심성 비대(32%), 구심성 비대(28%), 정상(24%), 구심성 재구성(13%) 순이었고, 총 말초저항은 구심성 재구성 군에서 다른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으며 구심성 비대군에서 IVRT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Doppler time index는 심박출 지수 및 이완기 지표중 IVRT, DT, E/A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지만 이완기 장애를 판별하는 민감도는 71%, 특이도는 68%였다.
결 론:
고혈압 환자의 좌심실 유형에 따른 이완기 기능 평가에서 Doppler time index는 다른 이완기 지표와의 상관 관계는 좋으나 단독으로 이완기 기능 장애의 판별능은 적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KCI등재 |
2018-06-27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Journal of Cardiovascular Ultrasound -> Journal of Cardiovascular Imaging외국어명 : Journal of Cardiovascular Ultrasound -> Journal of Cardiovascular Imaging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 | 0.2 | 0.1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14 | 0.14 | 0.241 | 0.2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