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디지털 애니메이션의 새로운 형식미학적 가능성에 대한 탐구 - 엔진-애니메이션의 제안과 사례들에 대하여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16(12쪽)
KCI 피인용횟수
1
DOI식별코드
제공처
다양한 디지털 영상 미디어의 등장과 발전에 따라 애니메이션에 대한 논의가 풍부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다만 그러한 논의의 출발이 되는 애니메이션의 정의와 본질에 관한 문제는 애니메이션이 영화의 시대에 있을 때, 정확하게는 셀룰로이드 필름위에 존재할 때 이루어졌거나, 또는 비디오나 디지털 미디어의 최종 상영형식에 의존하여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아, 이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그 정의를 먼저 재검토하여 애니메이션의 본질적 속성은 무엇인가를 밝히고 있다. 애니메이션은 결국 움직이는 이미지라는 환영을 직접적으로 조작하여 만들어 내는 것이다. 그 환영을 위해 이미지가 어떤 단위로 업데이트되는가 하는 문제는 이제 중요하지 않게 되었다. 디지털 애니메이션의 새로운 미학적 가능성은 프레임이나 픽셀을 검토할 때 보다는 그것이 만들어지는 방법론에서 찾아야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엔진-애니메이션을 제안한다. 오늘날의 애니메이팅이라는 것은 결국 키프레임을 어떻게 조작하는가의 문제로 환원되는 것이다. 엔진-애니메이션은 이 키프레임의 조작이라는 행위도 애니메이션의 본질적 속성을 담보할 수 없을 것을 가정한다. 지금까지 물리적인 현상을 재현하기 위해 제한적으로 사용되어 왔던 물리엔진의 전면적 사용은 키프레임의 소멸을 요청할 것으로 본다. 본 연구는 이에 따라 물리엔진을 물리현상의 재현을 위해 사용하는 것이 아닌 작품 전체를 작동하는 새로운 방법론으로 삼는 두 작가의 작품세계를 검토한다. 그들에게 물리엔진의 사용은 미학적 선택이었으며, 그것을 통해 그들은 전에는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차원의 움직이는 이미지를 제시하거나 지각하게 하거나 개입하게 함으로서 애니메이션의 형식적 경계를 실험하고 있다.
더보기Discussions have been active about animation in various forms of digital image media. However, with regard to the issues of definitions and the essence of animation, which form the starting point of such discussions, questions arise as to whether animations are created in the age of cinema, precisely on celluloid film, or as part of the final screening form of videos or digital media. This situation therefore calls for a review. In this study, we initially review the definition of and clarify the essential attributes of animation. Animation is created by manipulating the illusion of moving images. The question of which unit of an image is updated for the illusion is no longer important. The new aesthetic potential of digital animation should be found in the methodology in which it is created, rather than when examining a frame or pixel.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concept of engine animation. Creating motion from an image relies on the operation of the current key frame. Engine animation assumes that the act of manipulating a key frame cannot guarantee a decisive meaning. The extinction of the key frame will require the full use of the physical engine, which has been used thus far to reproduce physical phenomena. This study examines the works of two artists who use the physical engine as a new methodology to accomplish entire works instead of reproducing physical phenomena. Their use of the physics engine is an aesthetic choice through which they experimented with the formal boundaries of animation by presenting, perceiving, or engaging in new dimensions of moving images never seen before.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4-01-08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 Society Of Image Art And Media -> The Korean Society Of Media & Arts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5 | 0.35 | 0.3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3 | 0.32 | 0.515 | 0.1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