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이주민 대상 한국어교육 관련 현황과 선행연구 고찰을 통한 제언 = The Suggestions through a Study on Status and Previous Researches Concerning Korean Education of Immigrants
저자
발행기관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SUNGKYUL UNIVERSITY Multiculture & Peace Institute)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39-163(25쪽)
KCI 피인용횟수
2
DOI식별코드
제공처
The study, after ten years of implement, foremost aims to observe current status and previous research related to Korean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rogram(KIIP) and propose follow-up tasks and development based on the limitations and deducted implications. First, exhaustive and systematic education courses that constructs principles and continues to constitute details must be prepared through thorough reviews of perspectives subject to ideas concerning Muticultural Education Approaches. Secondly, surpassing insufficient content specialization and fragmentation on the entire migrant group, policy establishment and its problem-solving measures must be planned by deducing impactive discussions from various perspectives on migrant education. Thirdly, to resolve the limitations of‘lacking teaching methods’, following procedural flaws for composing the education course in detail, application of CEFR that has a consistent standard for teaching-learning-assessment and methodology could be implemented. Fourthly, a needs analysis concentrating on consumers could be carried out in order to create adequately specialized policies to various multicultural constituents. Fifth, to overcome imperfection of question analysis from which was noticed in the aspect of assessment, deficient discussion on the matter of connection with the textbook, insufficient connection with step by step evaluation and measures of forming questions, and other lacking issues, verifica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at each step by step assessment by construction of an integrated research base for experts, linkage among assessments, and feasibility ought to be acquired. Finally as a long-term task of seeking a solution, on the aspect specific to the subject, language,‘Collection of Writing Tasks’ and ‘Migrant Policies for immigrant adolescent Korean learners’, consistent support for Korean education has been suggested. This research has shown a resolution for professional improvement on the Korean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rogram(KIIP) with a concluding message of a promising future of the remaining tasks.
더보기본 원고는 실시된 지 10년 만에 2020년이 되면 ‘정책적 일원화’의 대상으로서 그 진행을 앞두고 있는 ‘사회통합프로그램’에 대한 관련 현황과 선행 연구들을 탐색하여 도출해 낸 한계점과 시사점을 바탕으로 개선과 후속 과제를 제언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분석 진행 과정을 통해 드러난 문제점과 그 개선방안은 이러하였다. 첫째, 기존의 ‘동화주의’라는 관점만이 막연히 적용되어 온 방향에서, 다문화교육 관점과 같은 이론에 대한 철저한 검토로 목표원리를 구축하고 세부 내용까지 구성해 가는 체계적이고 상세한 교육과정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전체 이민자 집단에 대한 세분화 및 내용 전문화에 대한 미흡함에서, 이주민교육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바탕으로 결집력 있는 논의를 도출하여 장기적인 정책 수립과 그 해결방안 등을 고안해야 한다. 셋째, 세부적인 교육과정 구성 절차상의 미흡함에서 이어진 ‘교수법 전무’라는 한계점을 해결하고자, 교수-학습-평가를 위한 일관된 잣대와 방법론을 구축한 CEFR을 적용해 볼 수 있겠다. 넷째, 그간 결혼이민자에게만 관련 논의가 집중된 한계점에서, 다양한 다문화 구성원에게 적합한 대상자별 특화된 정책 마련을 위하여 수요자 중심의 ‘과제’ 등에 대한 요구분석을 실행해 볼 수 있겠다. 다섯째, 평가적 측면에서 드러난 문항 분석과 교재와의 연계선 상에서의 논의의 부족함, 단계별 평가간의 연계성과 문항 구성방안 등의 미흡함을 극복하고자, 전문가들의 통(융)합적 연구기반의 구축을 통해 각 단계별 평가의 성취기준의 검증과 평가간의 연계성 등의 타당성을 확보해야 하겠다. 마지막으로는 장기적인 해결 과제로서, 대상자별, 언어권별 ‘쓰기 과제물의 수집’과 ‘중도입국 학습자들에 대한 이주민 정책’ 차원에서의 지속적인 한국어 교육지원의 마련을 제안하였다. 이렇게 본 연구는 이제 이주민 한국어 교육의 중심부에 위치한 ‘사회통합프로그램’에 대한 전문적 제고를 위한 실마리를 제공하였으며, 남겨진 과제들은 차후를 기약하며 이번 원고를 마무리하였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2009-06-16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북한학연구소 -> 다문화평화연구소영문명 : Institute of North Koreanology -> Multiculture & Peace Institute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7 | 0.87 | 1.0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5 | 0.95 | 1.415 | 0.2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