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한글 옛 글자꼴의 발굴과 개발에 관한 연구- 17세기 권념요록 글자체의 조형성 및 네모틀 형태 변이를 중심으로 - = A Study in the Discovery and Development of Old Hangul Typefaces -With a Focus on the Characters and Variation of the Square Frame of the 17th Century Typeface in Gwonnyeomyorok-
저자
유정숙 (서울여자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393-407(15쪽)
KCI 피인용횟수
2
제공처
This study analyzes and experiments with the style and matrix features of the typeface that appears in Gwonnyeomyorok, a publication from 1637 containing the Korea alphabet Hangul, by comparing a collection of letters representative of the said typeface with other Hangul typeface styles of today. With the overall purpose of discovering and inheriting the cultural legitimacy of Hangul,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a historical basis necessary for promoting new, useful applications of Hangul and reviewing the status of Hangul typeface styles. The following summarizes the discussions this paper covers in order to arrive at the study’s conclusion. The formative characters of the typeface in Gwonnyeomyorok display an uninhibited style of handwritten calligraphy which show a marked contrast between the width of strokes used to write vowels and consonants. The typeface’s style also exhibits a visual imbalance due to irregular proportions of spacing between syllables, depending on the size of individual letters and their combination to produce syllabic blocks. Regarding the features of the typeface’s matrix, the width and shape of individual letters and syllables are similar to a multi-baseline layout of non-square frames. The features also share a considerable similarity with square framed matrices, but are distinguishable from matrices resulting from a layout of three sets of letters or letter combinations each representing the initial, medial and final of a Hangul syllable. Through experimentation on the typeface’s baseline and arrangement of horizontal typesetting, the baseline’s variation, similar to multi-baseline layouts, turned out to be a natural alteration of the traditional square frame’s original form from the early days of Hangul’s invention. Such a typeface modification seems to have emerged from a variation of letter proportions in an old typeface’s vertical typesetting for practical application purposes. The transcriber’s style of writing script and tools used for such writing at the time also seems to have been a contributing factor. These findings prove that the traditional square frame original and its modified form have coexisted like a hermaphrodite throughout the history of Hangul’s transition and can thus offer significant support in today’s review of the historical status of Hangul typeface styles.
더보기본 연구는 오늘날 새롭고 유용한 한글 활용을 유도하고 아울러 한글 활자체 양식의 위치를 재조명하는 데 필요한 역사적 단초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17세기에 간행된 한글 옛 문헌인 권념요록 (勸念要錄)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연구방법으로 대상문헌의 대표 글자를 집자하여 자음과 모음 그리고 6가지 조합 원리에 따라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오늘날의 활자체 양식과의 비교를 통해 글자꼴의 조형성과 글자틀의 특징을 분석하고 실험하였다. 이를 통해 그 논의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권념요록 글자체(1637)의 조형적 특성으로는 자유로운 필기체의 붓글씨로 필획에 따른 자음과 모음 줄기의 굵기 대비가 심하게 두드러졌고, 낱글자의 크기와 모임꼴에 따른 글자공간의 불규칙한 비례는 시각적인 불 균정함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이는 당시의 독특하고 개성 있는 글자 표현으로 역사적 의미와 가치를 담은 옛 글자꼴로 파악되었다. 글자틀의 특성에서, 권념요록 낱글자와 온글자의 폭과 형태는 오늘날 다벌식 탈네모틀과 유사했으며, 네모틀과는 상당부분 유사하나 세벌식과는 구별되었다. 또한 기준선과 가로짜기 배열 실험에서 다벌식과 유사한 밑선의 변화는 창제초기의 전통적인 네모틀 원형으로 부터 자연스러운 형태 변화로 드러났다. 이러한 변이형태 글자꼴의 등장 요인으로는 첫째, 옛 글자꼴의 세로짜기 판짜기 방식에서 실질적인 적용 목적에 따른 글자 비례의 변형과, 둘째, 당시 필기체에 따른 필사자의 필법과 필기도구의 영향아래 야기된 것으로 해석되었다. 이와 같은 사실은 한글의 역사적 변천과정 안에서 전통적인 네모틀 원형으로부터 하나의 변이 형태가 자웅동체와 같이 내재되어 공존되어 왔음을 입증한 것으로, 이 연구는 오늘날 한글의 활자체 양식에 대한 그 역사적 위치를 재조명하는 자료로서의 중요한 의미와 가치를 지닌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2-0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3 | 0.33 | 0.3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4 | 0.34 | 0.512 | 0.0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