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서울 북촌공예마을 콘텐츠 활성화를 위한 자기조직화 플랫폼 연구 = A Study on Self-Organization Platform for Activating Contents of Bukchon Craft Village in Seoul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주제어
KDC
600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69-178(10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서울 종로구 안국동 일대는 1930년대 만들어진 집단 한옥촌이 형성되어 있으며 북촌한옥마을이라 부른다. 이곳은 60여 개의 공예공방과 40여 개의 아트숍이 모여있는 곳으로 서울 공예의 상징적 의미가 있는 곳이 다. 북촌 공예 마을의 재료적 콘텐츠를 보면 섬유, 금속, 도자, 가죽, 목칠, 나전, 종이 등 다양한 재료로 공예 콘텐츠를 만들고 있다. 그중 규방공예가 주류를 차지하며, 제작, 판매, 체험의 단순 구조의 콘텐츠를 구성한다. 다양한 공예 작가들이 모여있지만 콘텐츠가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지 못하고 있어 방문객들이 마을 전체의 콘텐츠를 이해하지 못하고 단순한 보는 관광으로만 표현되어 지역 오버투어리즘과 젠트리피케 이션의 문제점만 발생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지역 클러스터의 콘텐츠 분석을 통해 새로운 플랫폼으로 자기조직화 함으로써 스스로 주인의식을 갖고 공익적 역할과 더불어 새로운 콘텐츠 생성을 모색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첫째, 소통을 위한 네트워킹이 필요하다. 각 콘텐츠의 융합과 유기적 협조가 타 재료의 이해로 표현되며 이는 한국 공예상품 제작에 시너 지 효과로 나타낸다. 둘째, 매력도 상승으로 한옥, 전통문화, 공예 콘텐츠가 단순한 관람에서 참여로 이루 어지는 창작, 공유, 감상, 교환 등의 다양한 역할을 할 수 있는 공예 콘텐츠 개발로 표현되며, 셋째, 유기적 흐름으로 북촌 공예 마을의 지속적인 가치확장을 위해 콘텐츠, 관람자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여 이에 대응되는 플랫폼제작으로 제작, 판매, 전시, 체험, 교류로 이어지는 수요와 거래가 매칭되는 큐레이션 체계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북촌 공예 마을의 자기조직화를 통해 서울 북촌 공예 마을 콘텐츠는 자생적으로 뿌리내려 서울 공예산업 활성화에 근간을 형성하는 것이다.
더보기In the area of Anguk-dong, Jongno-gu, Seoul, there is a group Hanok Village created in the 1930s. It is called Bukchon Hanok Village. This is a place where more than 60 craft workshops and 40 art shops gather and symbolize the Seoul craft. Looking at the material contents of Bukchon Craft Village, the craft contents ar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textile, metal, ceramics, leather, lacquer, Najeon, and paper. Among them, crafts and crafts dominate the mainstream, and the contents are composed of simple structure of production, sales, and experience. Various craft artists are gathered, but the contents are not organ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so visitors do not understand the contents of the whole village and are expressed only as simple sight seeing, causing only problems with local overtourism and gentrification. In order to revitalize the Bukchon craft village, we have to self-organize each other as a content platform and seek to create new contents with a sense of ownership. To do this, first, networking is necessary for communication. The convergence and organic cooperation of each content is expressed by understanding other materials, which is a synergy effect on the production of Korean craft products. Second, the development of craft contents that can play a variety of roles such as creation, sharing, appreciation, and exchange where hanok, traditional culture, and craft contents are participated in a simple viewing due to rising attractiveness, and third, Bukchon craft village with organic flow In order to continuously expand its value, it analyzes the interaction between contents and viewers, and forms a curation system that matches demands and transactions leading to production, sales, exhibition, experience, and exchange by creating corresponding platforms. Through the self-organization of Bukchon Craft Village, Seoul Bukchon Craft Village contents are rooted in themselves and form the basis for revitalization of the Seoul craft industry.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