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얼굴인식에 관한 법적 쟁점 -해외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 Legal Issues Regarding Facial Recognition Focused on Discussions Abroad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499-526(28쪽)
제공처
Recently, face recognition technology has been introduced in all kinds of life situations. Face authentication is a type of biometric authentication that confirms identity based on the location and size of the eyes, nose, and mouth. The personal image stored in the database and the subject's face image taken with the camera are collated and authenticated. It has the characteristic of being able to quickly perform identity verification without contact. In China, for example, digitization is progressing rapidly and facial recognition technology is also being used to counter the novel coronavirus. In places where large numbers of people gather, surveillance cameras and temperature sensors detect people with high body temperatures, and facial recognition systems identify people. Results will be communicated to local authorities and steps are being taken to conduct COVID-19 testing on specific individuals. In addition, in Japan, facial recognition is being used in various situations, such as airports, commercial facilities, amusement parks, large-scale events, retail store settlements, and immigration systems in offices, utilizing the fact that individuals can be identified smoothly. On the other hand, because it is smooth, our faces are sometimes used for crime prevention and marketing purposes, such as surveillance cameras on street corners, even if we are not conscious of it.
Facial recognition technology is poised to make the world a better place, but extensive training in ethical implementation is needed to ensure that businesses can safely adopt this AI biometric technology for the comfort of everyone and everywhere.
The possibilities of facial recognition are beyond imagination. For example, you can automate office access control to keep your employees safe. Retailers can provide a stronger customer experience in their stores. It can simplify access control for many restricted areas during manufacturing. Banks and Fintech companies are introducing much stronger authentication and cutting-edge security controls. These are just the tip of the iceberg.
Facial recognition is the future of AI biometric technology. The industry must provide consumers with the right information, expose many widespread fakes about technology, and explain the potential benefits of positive value. We also need to properly regulate innovation so that it can embrace many benefits without hindrance. In this study on the prospect of face recognition, the application and implementation of face recognition technology in various industries and public fields were introduced and legal issues were reviewed.
최근에는 모든 종류의 생활 상황에서 얼굴인식 기술이 도입되고 있다. 얼굴인증은 눈, 코, 입 등의 위치와 크기에 따라 신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생체인증의 한 유형이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개인 이미지와 카메라로 촬영한 대상자의 얼굴 이미지가 대조되고 인증된다. 접촉없이 신속하게 신원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예를 들어, 중국에서는 디지털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응하기 위해 얼굴인식 기술도 사용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모이는 곳에서는 감시 카메라와 온도 센서가 높은 체온을 가진 사람들을 감지하고 얼굴인식 시스템을 통해 사람들을 식별한다. 결과는 지방 당국에 전달되며 특정 인물에 대한 COVID-19 검사를 실시하기 위한 조치가 취해지고 있다. 또한 일본에서도 개인을 원활하게 식별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활용해 공항, 상업시설, 놀이공원, 대규모 행사, 소매점 정산, 사무실의 출입국 관리 시스템 등 다양한 상황에서 얼굴인식이 활용되고 있다. 반면에, 매끄럽기 때문에 우리가 그것을 의식하지 않더라도 거리 모퉁이에 있는 감시 카메라와 같은 범죄예방 및 마케팅 목적으로 우리의 얼굴이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안면인식 기술은 세상을 더 나은 곳으로 만들 태세이지만, 기업이 모든 사람과 모든 곳에서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이 AI 생체인식 기술을 안전하게 채택할 수 있도록 윤리적 구현에 대한 광범위한 교육이 필요하다. 얼굴인식의 가능성은 상상을 초월한다. 예를 들어, 사무실 액세스 제어를 자동화하여 직원의 안전을 유지할 수 있다. 소매업체는 매장에서 더 강력한 고객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제조과정에서 많은 제한 구역에 대한 액세스 제어를 단순화 할 수 있다. 은행과 핀테크 회사는 훨씬 더 강력한 인증과 최첨단 보안 제어를 도입하고 있다. 이것들은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 얼굴인식은 AI 생체인식 기술의 미래이다. 업계는 소비자에게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고, 기술에 대한 많은 광범위한 가짜를 폭로하고, 긍정적 인 가치의 잠재적 인 이점을 설명해야 한다. 우리는 또한 혁신이 방해받지 않고 많은 혜택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적절하게 규제해야 한다. 얼굴인식 전망에 관한 이 연구에서는 다양한 산업 및 공적 분야에서 안면인식 기술의 응용 프로그램과 구현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을 소개하고 법적 쟁점을 검토하였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