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한국선도⋅중국도교⋅한국도교’ 구분론: 한국선도 변형태로서의 중국도교 연구 방향 제안 = The Distinction Theory of ‘Korean Sundo⋅ Chinese Taoism⋅Korean Taoism’: A Proposal for a Research on Chinese Taoism as a modified form of Korean Sundo
저자
석상순 (창원국학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7-62(56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2000년대 초반 학계에 ‘한국선도’라는 새로운 학술 개념어와 학문분야가 등장하였 다. 본고는 한국선도를 중심으로 중국도교 및 한국도교와의 상호간 개념과 영역을 비교 한 연구이다. 그간 한국의 선도문화에 대한 인식은 유교문화 내지 서구인 시각으로 규정되어 저급한 샤머니즘[巫]으로 폄훼받기 일쑤였으나, 오늘날 고고학적 발굴 및 연구 성과는 선도문화가 샤머니즘이 아니라 고차원적인 세계관과 삶의 방식을 보여주는 신선문화⋅신선사상[仙]이라는 사실 및 동북아 신선문화의 시원과 전파의 주체가 한민 족에게 있음을 입증해주고 있다.
근대 이후 한국선도 연구는 두 경향이 있어 왔다. 하나는 신채호 이래 한국선도가 중국도교와는 차별화되는 한민족 고유의 사상이라는 주체적 입장에서의 연구이고, 다른 하나는 이능화 이래 한국선도를 한국도교의 범주 속에 포함시켜 연구하는 입장이었 다. 전자에 비해 후자가 양적으로는 학계의 주류를 형성하여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늘 전자의 학풍을 계승하고자 하는 선학들의 연구가 이어져 왔고 이에 힘입어 ‘한국선 도’ 분야가 등장하게 되었다.
한국선도는 기학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하는 수행 및 철학(사상), 역사 등을 포괄하는 한민족 고유의 사상 체계를 말한다. 반면에 중국도교는 신선장생사상을 기반으로 노장 사상 및 유교⋅불교와 여러 민간신앙의 요소들을 받아들여 형성된 종교이다. 전자는 삼원오행론 철학을 기반으로 성통⋅공완하여 홍익인간⋅재세이화한 연후에 조천한다 는 신선문화, 곧 ‘신선공완사상’을 갖고 있다. 후자는 음양오행론 및 불로장생하여 우화 등선하려는 ‘신선장생사상’을 갖고 있다. 한국선도는 선도철학의 정수를 담은 경전과 이를 바탕으로 하는 철저한 수행, 강인한 역사의식 등을 기반으로 선도사관이 형성되었 다. 반면에 중국도교는 도장이라는 방대한 경전을 갖고 있을 뿐 역사의식이 미비하고 사회적 실천의식도 없어서 도교사학이 형성되지 못하였다. 한국도교는 중국도교와 거 의 비슷하다.
2000년대 초 이래 ‘한국선도’ 학문분야가 신생하여 분립하고 있다. 한국도교는 한국 선도의 분립을 수용하지 않고 한국도교의 도장 편찬을 위해 한국선도의 경전 및 사서를 끌어안고 있다. 반면에 그간의 한국선도의 연구성과는 외면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도 교는 한국선도 연구성과를 대범하게 인정하고 한국선도의 변형태로서의 중국도교 연구 를 제안한다. 이유는 동북아에서 시작되어 동아시아, 유라시아 전역으로 퍼져나간 선도 문화를 한국선도 및 한국도교 연구자들이 상호 조화롭게 연구하여 유라시아 전역 상고 문화사가 선도적 역사의식의 관점에서 서술되기를 기대하기 때문이다. 이 방법이 오랜 동안의 문화사대주의 특히 중화중심주의적 사고에서 벗어나서 한국의 문화적 정체성을 찾는 길이 될 것이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new academic field of ‘Korean Sundo’ that emerged in the early 2000’s with a comparative study with the Chinese Taoism. The Korean Sundo culture was hitherto viewed as being similar to Shamanism especially seen through the western lens. However, archaeological discoveries and achievements since the 1980’s are revealing that the Korean Sundo is the ShinSun (神仙) Thought which embodies a highly cultivated ways of life and a world view distinct in its qualities to shamanism and it also explains the origins of the North-east Asia ShinSun (神仙) Culture.
There have been two different tendencies in the research of the Korean Sundo since the modern era. One takes on the thoughts of Shin Chae-ho, that Korean Sundo is a thought system indigenous to Korea, distinguished from Chinese Taoism. The other follows on Lee Neung-hwa who understands Korean Sundo to be within the boundaries of Korean Taoism. The latter has been the mainstream point of view, at least in terms of the numbers of its researchers. However, the former school has continued to thrive, culminating in the emergence of the field of ‘Korean Sundo’.
Korean Sundo is an indigenous Korean system of thought that embraces the balance of the mind and the body based on training by way of the philosophy of energy (氣) that further extends to an awareness of social values and its history. On the other hand, the Chinese Taoism is a religion formed of Shinsun Long-life thought, Laotzu, combination as a Confucianism, Buddhism and various folk religion. The former is a Shinsun culture with active sense of humanitarian cause with endeavor to establish Hongik Ingan (弘益人間 People devoted to the betterment of humanity)⋅Jae Ihwa (在世理化 Creating a peaceful world) by way of Seongtong (性通 Connecting with heaven)⋅Gongwan (功完 Serving to the society) on a basis of ‘the Theory of the five elements of three dimensions - Chun(天)⋅Ji(地)⋅ In(人,) doctrine. The latter, Chinese Taoism, on the other hand, has its base on Shinsun Long-life thought by the Theory of the five elements of Yin and Yang, to ascend to heaven as a Taoist immortal by way of staying young and living long. Korean Sundo has also formed its way of viewing the history with emphasis on the awareness of the social consciousness through meditational training accompanied by the scriptures that contain the essence of Sundo philosophy. Whereas Chinese Taoism has a massive scripture, called Dojang (道藏), it lack historical consciousness or awareness to serve the society, and therefore there isn’t a branch of study in history in Taoism. Similarly, the same applies to Korean Taoism.
Since the early 2000’s, the academic field of ‘Korean Sundo’ emerged and is standing independently. In response to this, the Korean Taoism is embracing the scriptures and historical studies of Korean Sundo in order to publish their own scriptures. Meanwhile, they do not accredit the research achievements of Korean Sundo. We propose that the Korean Taoists should acknowledge the research achievements of Korean Sundo, and that they should also study into the Chinese Taoism as a modified form of the Korean Sundo. This will enable the two fields to research more harmoniously as the Korean Taoism adopts the historical viewpoint from Korean Sundo, whereby the ancient cultural history that spread throughout Eastern Asia and Eurasian continent has its central philosophical origins in Northeast Asia. Furthermore, this will enable the Korean philosophers to stand on their own feet at last free of the prolonged cultural toadyism, especially Sino-centrism.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0-05-04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仙道文化 제6집 -> 仙道文化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2007-04-1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선도문화연구원 -> 국학연구원영문명 : Korean Sundo Culture Institute -> kukhak Institute | |
2006-11-13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Institute for Korea Sundo & Culture -> Korean Sundo Culture Institute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6 | 0.36 | 0.4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1 | 0.42 | 0.996 | 0.42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