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영남지역 지석묘 문화의 변화와 사회상 = Changes to the Dolmen Culture and Social Aspects in the Yeongnam Region
저자
이수홍 (울산문화재연구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31-59(29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This study set out to review tombs of the Yeongnam region from the Bronze Age and examine the social changes that led to the changes of the tomb culture during the age.
Tombs first appeared in the former part of the Bronze Age. These tombs were built as "monuments" rather than the simple outcomes of body disposal, thus holding significance. Tombs were built as monuments because there was a need to increase the authority of leaders. The start of tomb construction meant the beginning of stable "sedentism." In the former part of the Bronze Age, groups of 1~3 tombs were distributed just like a hamlet consisted of 2~3 house in narrow and long square forms.
Hamlet and Village were combined to form a ‘Chon-lag(村落)’, tombs of whose tribal leader contained polished stone daggers buried in them.
In the latter part of the Bronze Age, tombs formed a cluster and became a cemetery. The part marked the heyday of the dolmen culture. The linear expansion type was observed in the clustered arrangement of tombs in sequence of strata. Largescale villages began to emerge around this time. ‘Eub-lag(邑落)’ consisted of hamlet, village, and twon. The equal society with no inequality institutionalized was still maintained. Cian chief also emerged as leaders of ‘Eub-lag’. Their tombs were Myoyeoktype dolmens in the Gyeongnam region, had long stone daggers buried in them in the Daegu area, and enclosed square tombs in the Ulsan area.
In the early Iron Age, networks between villages worked more importantly than the size of a village. This period witnessed the appearance of Polity chief, a ruler of an unequal society and the construction of a tomb for a single person. The tombs of Polity chief were massive dolmens distributed independently and wooden coffin tombs with new imports of slender bronze daggers and bronze mirrors buried in them. A new ‘Guk-eup(國邑)’ held a memorial service for heavenly gods on the top of a hill by building an altar with piles of stone in the same shape as a dolmen and using the same rock as a cover stone.
As greater importance was placed on items of authority for individuals rather than collective labor force, wooden coffin tombs were spread fast. A new era began with the culture of building dolmens disappearing into history.
영남지역 청동기시대 무덤을 검토하여 어떤 사회적 변동이 무덤문화의 변화를 이끌었는지 살펴보았다.
청동기시대 전기에 무덤이 출현한다. 단순한 시신처리 결과물이 아닌 ‘기념물’로서의 무덤이 축조되기 시작했다는 의미이다. 기념물로서의 무덤 축조는 지도자의 권위를 고양할 필요성이 작용하였을것이다. 무덤이 축조되기 시작한다는 것은 안정된 ‘정착생활’이 시작되었다는 것이다. 전기에는 무덤이 1~3기씩 분포하는데 세장방형 주거 2~3동이 하나의 마을을 이루는 것과 연동한다. 소촌과 촌이결합되어 촌락을 이루었는데, 마제석검이 부장된 무덤의 피장자가 촌장일 것이다.
후기에는 무덤이 군집하여 공동묘지화 된다. 지석묘 문화의 전성기이다. 군집하지만 수평적 층서를 나타내는 선형적 확대유형으로 분포한다. 이때부터 대규모 취락이 등장하는데 소촌, 촌, 대촌이 결합한 읍락을 이루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불평등이 제도화되지 않은 평등사회가 유지되었다. 마을의 지도자인 족장이 등장하였는데 경남지역은 대규모 묘역식 지석묘, 대구지역은 장신검이 부장된 무덤, 울산지역은 주구묘가 족장의 무덤이다.
초기철기시대는 취락의 규모 보다는 취락간의 네트워크가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이 때불평등사회의 지배자인 군장이 등장하는데 1인을 위한 무덤이 축조된다. 1기만 단독으로 분포하는 거대 지석묘, 새롭게 유입된 세형동검과 동경이 부장된 목관묘가 수장의 무덤이다.
새롭게 국읍에서 주제하는 천신제사가 구릉 정상부에서 행해지는데 지석묘와 동일한 형태의 적석제단을 축조하거나 상석과 동일한 바위를 이용하였다.
공동체의 노동력보다는 개인을 위한 위세품이 더 중요하게 인식되면서 목관묘가 빠르게확산된다. 지석묘를 축조하는 문화가 역사 속으로 사라지며 새로운 시대가 시작되는 것이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 | 0.7 | 0.7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2 | 0.89 | 1.572 | 0.26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