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론적 문화론의 지형도 = Carte topographique de la théorie culturelle dialogique : A travers de “la culture, la communication et de la reconnaissance” chez G. Vincent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1
작성언어
-주제어
KDC
100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7-41(15쪽)
제공처
국문화적 관점에서 우리의 세계는 척박하거나 메마르지 않고, 오히려 풍요롭고 ‘살만한 세계’다. 세계의 의미를 찾고 그 의미를 증가시키는 행위가 바로 문화를 생산하는 작업이다. 문화는 세대 간의 의사소통과 최소한 두나라(또는 지역) 이상 사이의 ‘의사소통’을 전제로 한다. 이 점에서 문화는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는 힘을 갖는다. 즉 문화는 시간적인 면에서 ‘전통들의 교차점’의 역할을 하면서 세대 간의 만남을 주선해주고, 공간적인 면에서 새롭고‘낯선 이문화간’의 관계를 형성해준다. 세계의 의미와 의사소통으로 대표되는 문화는 ‘인정’의 개념을 요청한다. 자기만(또는 우리만)의 문화라는 주장에 반하여, 인류가 갖고 있는 놀라운 능력인 언어를 매개로 하여 지속적으로 타자에게로 나아가는 자세는 나의 문화뿐만 아니라 타자의 문화도 인정하려는 적극적인 태도다.
더보기Notre étude vise à comprendre la carte topographique de la théorie culturelle dialogique, à travers de “la culture, la communication et de la reconnaissance” chez G. Vincent.
Pour cette compréhension, nous exposons les diverses perspectives culturelles; le culturel et la culture, les principes du novlangue, les métaphores culturelles, la culture et la reconnaissance. A la lumière de cet exposé, nous pourrions aborder le problème central de notre article: c'est-à-dire que la culture peut être communiquée en vue du monde commun possible.
Par exemple, la théorie d'Hannah Arendt nous invite à considérer comme normal le phénomène de croisement des traditions et des rencontres interculturelles. Et l'approche orwellienne est significative: il y est question de la langue, non de la culture; et non d'une langue en soi, ni de la langue pour nous, mais d'une sorte de langue fonctionnellement appauvrie, machine sémiotique nous forçant à nous soumettre, corps, âme et raison, à une réalité inhumaine.
Tout se passe comme si cet article met en question le champ sémantique de la notion de culture, en mettant l'accent sur le rapport entre la culture, la communication et la reconnaissance.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