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在唐 新羅人의 도교 활동과 羅唐간의 상호적 仙遊에 관한 연구 = 新罗人在唐朝的道教活动, 以及罗唐之间双向仙游的研究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1
작성언어
-주제어
KDC
15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15-142(28쪽)
KCI 피인용횟수
1
제공처
신라 출신으로 唐에 왕래하거나 거주했던 學人들 가운데 김가기와 최치원처럼 道敎에 정통한 인물들이 있었다. 한데 이들의 도교활동을 단지 당에서 신라로의 문화전파 관점에서 판독하는 사례가 많다. 그러나 김가기는 입당 후 잠시 신라를 다녀갔을 뿐 줄곧 당에 머물렀으며, 마침내 長安 終南山에서 白日登仙했다고 전해진다. 그가 본국에 끼친 영향은 미미했지만, 중국에서는 오랫동안 기억되고 추앙받았다. 최치원 역시 도교에 정통했으나, 그렇다고 신라에 도교를 일방적으로 전파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대신 그들은 당에서 번성한 도교에 적극 ‘참여’했다. 한편 당과 신라의 식자들이 공히 海東을 三神山의 仙鄕으로 은유하고 해동인삼을 仙藥으로 인식하며, 당의 道人이 신라와 발해 그리고 일본까지 국가와 華夷의 경계를 넘어 유력한 행적 등에서 선도를 매개로 하는 교류가 상호적이고 복선적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方外의 무하유향을 향하는 공간의식과 영원회귀를 꿈꾸는 시간의식으로 충만한 仙遊의 견지에서, 我와 他의 배타적 이분법과 자기[자국ㆍ자문화]중심주의가 해소되었다. 이런 자유와 화해의 정신이야말로, 불교의 圓融无涯 사상과 함께 국제성이 풍부한 唐의 문화를 꽃피운 원동력의 하나였다.
더보기在唐朝许多新罗人入唐求学, 其中有深通道教的人物, 如金可记和崔致远等, 而他们的道教活动常常被做为道教转入新罗的明证。不过, 金可记及第後暂时回新罗, 而及时返回长安, 相传为在终南山终于白日登仙, 因此他对新罗的影响微不足道, 但在中国很长时间受到世人的仰慕。崔致远也是精于道教的, 但从各方面来考察, 很难判断出他将中国道教转入到新罗。他们虽然积极参与唐朝的道教, 但是还以为海东新罗就是靠近三神山的仙乡, 而海东人形蔘即仙药。这不仅仅是金可记和崔致远等新罗人的想法, 而是唐时文人相当共识的见解。那样, 以仙道为媒介进行交流, 随着双方交往的加深, 文化的互相渗透不可避免。一边新罗人入唐求道, 又一边唐人也渡海游历海东求仙。这样的仙游充满永恒回归的时空意识, 而持有不分彼此,超国界的视野, 其与佛教的圆融无涯思想一起让具有国际性的唐文化开出鲜艳的花朵。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5-07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Asian Philosphy in Korea : SAPK | KCI등재 |
2007-01-24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2 | 0.42 | 0.4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7 | 0.49 | 1.246 | 0.05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