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성인기 장애인의 기초문해교육 요구도 분석: 장애유형별 디지털․생활․수리문해 영역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Basic Literacy Education Needs among Adults with Disabilities: Focusing on Digital, Functional, and Numeracy Literacy across Disability Types
저자
조규영 (극동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97-115(19쪽)
제공처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표는 성인기 장애인을 위해 기초문해교육의 실질적인 교육 요구를 파악하고 시각 및 청각, 뇌병변 장애인 등 장애 유형별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문해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연구는 정량적 기술 연구로 설계되었고, 수도권과 비수도권에 거주하는 장애인 총 46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설문지는 디지털 문해, 생활 문해, 수리 문해 영역별로 하위 항목을 구성하여 4점 Likert 척도로 응답을 수집하였고 문항의 타당성 확보를 위해 전문가 자문 및 사전조사를 진행하였다. 자료는 Excel과 SAS 9.4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빈도 분석 등을 통해 수요 수준과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장애 유형별로 문해교육에 대한 요구 항목과 우선순위에 뚜렷한 차이가 드러났다. 시각장애인은 음성정보 활용과 문자 표현에 대한 교육 수요가 높았고, 청각장애인은 은행 업무, 서류 작성 등 실용적 금융 및 행정 문해역량에 대한 요구, 뇌병변장애인은 교통시설 이용, 생활속 한글 이해 등 실생활과 밀접한 영역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공통적으로는 디지털 기기 활용, 금융 정보 이해 및 건강과 안전에 대한 교육 수요가 높았으며, 수리 문해 영역에서는 실생활과 밀접한 항목에 대한 요구가 두드러졌다. 결론 및 논의: 이러한 결과는 장애 유형별 요구 차이를 반영한 맞춤형 교육 설계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본 연구는 성인 장애인의 기초문해교육 수요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정책 수립과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ctual educational needs for basic literacy education for adults with disabilities and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customized literacy education program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types of disabilities, including visual, hearing, and brain lesions. Method: The study was designed as a quantitative descriptive research and conducted with a total of 46 adults with disabilities residing in both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areas.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with sub-items for three literacy domains—digital literacy, daily life literacy, and numerical literacy—and responses were collected using a 4-point Likert scale. To ensure the validity of the items, expert consultation and a pilot survey were conduct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Excel and SAS 9.4 to calculate means, standard deviations, and frequencies to determine the level of demand and priority. Results: The study revealed clear differences in literacy education needs and priorities depending on the type of disability. Individuals with visual impairments showed high demand for education related to voice information use and text expression. Those with hearing impairments expressed strong needs in practical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literacy skills such as banking and document processing. People with brain lesions had high demand for education related to the use of transportation facilities and understanding written Korean in daily life. Across all disability types, there was a common high demand for digital device usage, understanding financial information, and education on health and safety. In the domain of numerical literacy, there was a prominent need for items closely related to real-life applications. Conclusion and Discussion: These result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designing customized education programs that reflect the varying needs of each disability typ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ystematically analyzed the demand for basic literacy education among adults with disabilities, and it can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future policy-making and curriculum development.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