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백제 건국신화의 연구 -일본의 도모신화를 중심으로 한 고찰- = A Study on the Foundation Myth of Baekj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810.4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5-33(29쪽)
제공처
소장기관
백제의 건국신화로는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전해지는 온조 신화 이외에 중국의 『수서(隋書)』와 『북사(北史)』에 실려 있는 ``구태(仇台) 신화``, 그리고 일본의 『속일본기(續日本紀)』에 실려 있는 ``도모(都慕) 신화`` 등이 있다. 본고에서는 이 도모신화가 백제왕의 후손들 사이에 전승되던 자료라는 점에 착안하여, 이것을 백제 건국신화의 원형으로 상정하고 중국의 자료를 이용하여 그 원래의 형태를 재구하려고 하였다. 그리하여 백제 건국신화는 ㉮ 비정상적인 탄생과 ㉯ 고난과 고난의 극복, ㉰ 시련과 시련의 극복, ㉱ 건국, ㉲ 능력의 인정, (6) 나라의 융성 등 6 개 단락의 순차적 구조로 이루어졌을 것이란 추정을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도모신화는 부여의 동명 신화와 같은 계통에 속하는 것으로 보았다. 그런데 고구려의 건국에 얽힌 주몽 신화는 부여의 동명 신화와 같은 계통이면서도, 그 집권세력이 남하할 때에 고아시아의 일족이었던 코리약족의 영향을 받아 난생신화로 바뀌었다는 것을 알아냈다. 그리고 삼국사기 에 전해지는 온조와 비류 신화는 그 편찬자인 김부식의 중세적 합리주의 사고로 변화되었을 것이라고 간주하였다. 곧 전자는 백제의 왕들이 온조를 건국의 시조로 하면서도 동명묘(東明廟)를 세우고 거기에 참배했던 것을 근거로 온조를 주몽의 아들로 기술된 것이고, 후자는 왕실의 혈통을 북부여와 연결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기술되었다는 것이다.
더보기The foundation myths of Baekje are Onjo Myth in Samguksagi(三國史記), Gutae(仇台) Myth in Suseo(隋書) and Buksa(北史) of China, and Domo(都慕) Myth in Sokilbongi(續日本紀) of Japan. Assuming that Domo Myth is a protype under the fact that Domo Myth is a material transmitted among the Kings of Baekje, this thesis is to try to reconstruct the original form of foundation myth of Baekje by using the materials of China. Consequently, this thesis examines out the fact that the foundation myth of Baekje consists of six paragraphs in its contents in a consecutive order: unusual birth, sufferings and overcome of suffering, hardships and overcome of hardships, foundation of a nation, recognition of competence, prosperity of the nation. Additionally, this thesis finds out that this Domo Myth is of a same story as Dongmyung Myth of Puyeo. On the other hand, it is found out that the Jumong Myth involved in the foundation of Koguryeo is of a same story as Dongmyung Myth of Puyeo, and also that when the governing group moved south the Jumong myth was changed into born-of-egg tale influenced by Koryaks, one of the Paleo Asiatic tribes. And it is assumed that Onjo and Biryu Myth of Samguksagi were changed by its editor, Kim Bu-Sik`s medieval rational way of thinking. Precisely speaking, the former described Onjo as Jumong`s son on the ground that not only Kings of Baekje thought of Onjo as a founder of Baekje but also they, building up Dongmyungmyo(東明廟), paid their respects at it. The latter was described as one of the methods to connect the royal family`s blood line to PukPuyeo.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