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백제의 대열과 전렵 의례 재검토 = A Review of Baekje's Rites and the Ritual of the Warring States
저자
장수남 (충남역사문화연구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67-206(40쪽)
제공처
군사의례는 유사시와 평시의 군사의례로 구분할 수 있는데, 평시에 해당하는 대열・전렵・활쏘기 중에서 삼국사기 「백제본기」에 비교적 기록이 남아 있는 대열과 전렵 의례를 중심으로 구체적인 백제의 군사의례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대열은 평시에 국왕의 통수권을 확인하는 가장 기본적인 의례로 도읍지에서 멀지 않은 평지에서 시행되었으며, 왕을 위한 별도의 자리를 마련하는데이를 ‘墠所’라 하며 그 방향은 북쪽이다. 대열 시에는 백제를 상징하는 깃발을 세워 훈련하였으며, 대열 후에는 잔치를 베풀어 왕의 권위를 상징적으로드러내고자 하였다. 다만 동성왕 이후에 대열의 기사가 보이지 않는 것은 대열이 전렵 의례 때에 함께 행해졌을 가능성과 웅진기 이후 잦은 전쟁으로 전쟁 자체가 실전 훈련이었기 때문에 별도의 대열을 시행하지 않았을 가능성이있다.
전렵은 대열과 달리 사계절 내내 시행되고 있었는데 그 절차는 훈련-사냥- 제사의 단계로 진행되었다. 전렵의 터에 깃발을 세우고 기병을 통해 3구 몰이를 한 후에, 사냥감을 상・중・하로 나누고 上等을 종묘에 제사지냈다. 그리고 사냥 후에는 연회를 베풀었다. 백제의 전렵의례에서 주목되는 것은 장소인데, 이것을 ‘⽥’과 ‘獵’으로 구분할 수 있다. 특정 장소에서 사냥물의 획득이 없었음에도 전렵이 행해지는 것은 이것이 평시의 군사의례로 왕의 권위를상징적으로 드러내고자 하였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군사의례라는 것은 외부로부터 나라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군사훈련 기능도 중요하지만, 왕의 권위를 드러내는 상징적인 의미도 중요하기 때문에 평시의 군사의례 수단으로 대열과 전렵이 지속적으로 행해졌던 것이다.
Military protocols are divided into the ones for emergencies and the ones for ordinary tim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atterns of Baekje's specific military protocols with a focus on the aspects of lines and animal hunting protocols whose records are relatively found in "Baekjebongi" of Samguksagi of Baekje's military protocols for ordinary times including the aspects of lines, animal hunting, and archery.
As the most basic protocols to confirm the king's supreme command in ordinary times, the aspects of lines were performed on a flatland not far from the capital. The site would have a separate place for the king. It is called Seonso in the direction of the north. They would raise the flags to represent the state of Baekje during the training in the aspects of lines. Once it was finished, the king would hold a feast to show his authority symbolically. There were no articles about the aspects of lines since King Dongseong. It is possibly because the aspects of lines were performed along with the animal hunting protocols. Another assumption is also possible that there was no room for the aspects of lines due to frequent wars since the Woongjin period.
Animal hunting happened throughout the four seasons unlike the aspects of lines. The procedure followed the order of training, hunting, and memorial service. The flags would rise at the animal hunting site. After a drive with the cavalry in three sections, they would categorize the games in the upper, middle, and lower grades and offer the ones of the upper grade at a memorial service at the royal ancestral shrine. A feast would follow every hunting. Places are noteworthy in Baekje's animal hunting protocols. They can be divided into Jeon and Yeop. Animal hunting would happen at certain places even without any game, which suggests that animal hunting was performed as a military protocol for ordinary times to show the king's authority symbolically.
Military protocols carry out an important function of military training to keep the country safe from outside enemies. They also hold important symbolic significance to show the king's authority. These are the reasons why they performed the aspects of lines and animal hunting as means of military protocols during ordinary time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