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원주지역 불교 역사와 특징 小考 = A Study on the History of Buddhism in Wonju and Its Characteristics
저자
정창헌 (사단법인 세계불학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85-226(42쪽)
제공처
소장기관
본고는 지역불교 연구의 하나로, 한반도의 중앙에 위치한 원주 지역의 불교역사를 살펴보고 각종 불교문화 유산을 통해 그 특징을 파악하고자 한다. 삼국의 접경지이면서 교통의 요지였던 원주는 차례로 고구려, 백제, 신라의 영토가 되었고, 통일 이후에는 신라 5소경 중 중원경이 설치되기도 하였다. 고려시대의 원주는 국사, 왕사가 주석한 사찰들로 인해 한국불교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였다. 고려 초기에 희양산문의 지증 도헌은 거돈사를 창건하였고, 봉림산문의 진공 충담은 흥법사에서 입적하였다. 고려 중기에는 법상종의 지광 해린이 법천사를 하산소로 삼기도 했다. 원주에는 또한 치악산을 배경으로 하여 구룡사, 국형사, 상원사 등의 전통사찰이 즐비하며, 경순왕과 마의태자 전설이 깃든 미륵산 마애불을 중심으로 한 미륵신앙도 특기할 만하다.
연세대학교의 기독교 유지나 용소막 성당 등의 천주교 성지로 인해, 얼핏 보기에 원주의 불교세가 약해 보이지만, 전역에 산재한 불교 유적이나 각종 문화유산으로 보면 결코 그 무게가 가볍지 않다. 이에 한국사와 원주 지역사, 한국불교사와 원주 불교사의 바탕 위에, 원주불교의 유ㆍ무형 유산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여 원주불교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드러내고자 한다.
This paper is a study of local Buddhism, and it examines the history of Buddhism in the Wonju region,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ries to understand its characteristics through various Buddhist cultural heritages.
Wonju, which was the border area of the three kingdoms, was ruled by Baekje, Goguryeo, and Silla in turn, and after reunification, it was a key point of transportation, the Jungwongyeong(中原京) was installed of the five small capitals of Silla.
Wonju in the Goryeo period holds an important place i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due to the temples annotated by the royal priests(國師).
Ji Jeong Doheon(智證 道憲) of Heeyangsanmun(曦陽山門) founded Jūdùnsì(居頓寺), and Jingong Chungdam(眞空 忠湛) of Bongrimsanmun(鳳林山門) passed away at Xìngfăsì(興法寺).
In the mid-Goryeo period, Jigwang Hae-rin(海麟), the Beopsangjong(法相宗), spent the last days of his life there.
In Wonju Chiaksan Mountain, there are many traditional temples such as Guryongsa Temple, Gukhyungsa Temple, and Sangwon Temple, etc. In addition, in Wonju, the Mireuksan Maae Buddha(彌勒山 磨崖佛), which has the legend of King Gyeongsoon(敬順王) and Prince Maui(麻衣太子), is centered on the Mireuksan Maae Buddha, and the Mitreya faith is also famous.
At first glance, Wonju's Buddhist status seems weak due to Catholic holy sites such as Yongsomak Cathedral, but this is not the case when you look at the Buddhist relics and various cultural heritages scattered throughout the country.
Therefore, on the basis of Korean history, Wonju regional history, Korean Buddhism and Wonju Buddhist history, the existence and intangible aspects of Wonju Buddhism will be comprehensively examined, revealing the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of Wonju Buddhism, and at the same time, a glimpse into a part of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