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체육참가자들의 인지된 자유감과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 = (The)relation between sports participants' perceived sense of freedom and their subjective sense of peace
저자
발행사항
용인 : 용인대학교 체육과학대학원, 2008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용인대학교 체육과학대학원 , 체육과학학과 무도과학전공 , 2008. 2
발행연도
2008
작성언어
한국어
주제어
KDC
692.4 판사항(4)
발행국(도시)
경기도
형태사항
v, 63 p. : 삽도 ; 26 cm.
소장기관
본 연구는 생활체육참가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주관적 안녕감과 인지된 자유감의 차이를 밝히고, 인지된 자유감과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07년 K도 O, S시 사설형 체육시설에 참여하고 있는 만 20세 이상의 성인 남·여를 모집단으로 한정 하였으며, 조사대상자의 표본추출방법인 2단 추출법(two-stage sampling)을 활용하여 총 271명을 설문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검색과정을 거쳐 The SAS system for windows(release9.1)이용하였으며, 사용한 자료분석 기법은 확증적 인자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ronbach′α 추정, t-test,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다중선형회귀분석(multiple liner regression) 등 이였다. 이상의 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체육참가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주관적 안녕감의 차이에서, 성별에 따른 주관적 안녕감은 정적정서 행복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연령에 따른 주관적 안녕감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학력에 따른 주관적 안녕감은 생활만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수입에 따른 주관적 안녕감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건강상태에 따른 주관적 안녕감의 차이는 생활만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생활체육참가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인지된 자유감의 차이에서, 성별에 따른 인지된 자유감은 욕구·몰입, 조절력, 자신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연령에 따른 인지된 자유감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학력에 따른 인지된 자유감은 욕구·몰입, 조절력, 자신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수입에 따른 인지된 자유감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건강상태에 따른 인지된 자유감은 욕구·몰입, 조절력, 자신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생활체육참가자들의 인지된 자유감과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 규명에서, 생활체육참가자들의 인지된 자유감과 주관적 안녕감은 크고 작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인지된 자유감은 주관적 안녕감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clarify differences between sports participants’ subjective sense of peace and their perceived sense of freedom classified by demography, as well as get to the bottom of the connection between a perceived sense of freedom and a subjective sense of peace.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a population was defined as over 20 year old grown-up males and females whom were taking part in private fitness facilities in O and S Cities of K Province in 2007. The total 271 people among them were chosen for a survey by utilizing two-stage sampling, sampling from a population.
Data collected from this survey went through research process using the SAS System for Windows (release9.1). Moreover, adopted material analysis techniques for this survey were ranged from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 , t-test, One 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to Multiple liner Regression.
Through the mentioned methods and process, the conclusion is reached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difference in the sports participants’ subjective sense of peace, the sense of peace by gender staticall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tatic emotion euphoria. By age, on the other hand, it did not represent the significant difference. And according to education background, the immanent sense of peace statically illustrated a noteworthy gap and by income the subjective sense of peace failed to show the difference. Lastly, the difference of the immanent sense of peace was significant in health condition.
Second, when it comes to sports participants’ perceived sense of freedom, the perceived sense of freedom by gender showed a significant gap in desire, immersion, ability of control and confidence however, by age it did not represent any significant sign. Furthermore, by education background the perceived sense of freedom illustr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esire, immersion, ability of control and confidence. Finally by health condition, the gap in desire, immersion, ability of control and confidence were statically noteworthy in the same category.
In conclusion, searching for the connection between sports participants’ perceived sense of freedom and their subjective sense of peace. The two categories have high and low correlations with each other and it appeared that the perceived sense of freedom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ubjective sense of peace partly.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