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능가경』의 여래장․아뢰야식의 공성에 대한 이해 = Understanding of Śūnyatā of Athāgatagarbha․Ālayavijñāna in Laṅkāvatārasūtra
저자
양용선 (동국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61-88(28쪽)
제공처
『능가경』은 아뢰야식과 여래장을 동일시한다. 선행연구자들은 외도의 상견을 바로잡기 위해 여래장을 아뢰야식과 동일시했다고 주장한다. 필자가 보기에, 그들의 주장은 유가행파의 공성 해석에 기반한 것이다. 유가행파에서는 이뢰야식의 공성을 지각이 없는 무심으로 해석한다. 그러나 『능가경』에서는 아뢰야식․여래장의 소멸을 주장하는 단견으로 간주한다.
유가행파에서는 아뢰야식의 공성을 두 가지로 해석한다. 『보살지』에서는 선취공과 악취공을 제시한다. 선취공이란 사물 자체에 언설이 없는 것이고, 악취공이란 언설도 없고 사물도 없는 것이다. 『중변분별론』과 『삼십송』에서는 첫째는 마음 자체에 대상이 없는 것이고, 둘째는 대상도 없고 마음도 없는 것이다. 특히 세친은 공성․유식성에 머무는 것을 지각이 없는 무심이라고 해석한다.
여래장 경론에서도 여래장의 공성을 두 가지로 해석한다. 『보성론』에서는 공과 불공을 제시한다. 공은 여래장에 번뇌가 없는 것이고, 불공은 여래장에 불성․지혜가 있는 것이다. 『능가경』에서도 아뢰야식․여래장 자체에 번뇌는 없고 지혜는 있는 것이라고 해석한다. 『능가경』에서는 유식성에 머무는 것을 여래장․아뢰야식의 소멸, 즉 무심으로 해석하는 것은 외도의 단견에 불과하다고 지적한다.
이상 본 연구에 의하면, 지금까지 유식사상과 여래장사상을 융합한 경전이라고 알려져 있는 『능가경』은 유식사상보다는 여래장사상을 핵심적인 교학으로 해서 설해진 경전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In Laṅkāvatārasūtra, ālayavijñāna and tathāgatagarbha are considered to have the same meaning. Previous researchers argue that tathāgatagarbha was identified with ālayavijñāna in order to correct tīrthaka's śāśvata-dṛṣṭi. In my view, their argument is based on the Yogācara school's interpretation of śūnyatā. Yogācara school interprets śūnyatā of ālayavijñāna as acitta without perception. However, in Laṅkāvatārasūtra, the interpretation of Yogācara school is regarded as uccheda-dṛṣṭi claiming the extinction of ālayavijñāna․tathāgatagarbha.
Yogācara school interprets śūnyatā of ālayavijñāna in two ways. In Bodhisattvabhūmi, correctly identified śūnyatā and incorrectly identified śūnyatā are presented. The correctly identified śūnyatā means that the object itself has no linguistic expression, and the incorrectly identified śūnyatā means that there is no linguistic expression and no object. In Madhyāntavibhāgabhāṣya and Triṃśikāvijñaptibhāṣya, the first śūnyatā means that the mind itself has no object, and the second śūnyatā means that there is no object and no mind. In particular, Vasubandhu interprets staying in śūnyatā․vijñaptimātratva as acitta without perception.
In the scriptures describing tathāgatagarbha, the śūnyatā of tathāgatagarbha is interpreted in two meanings. In Ratnagotravibhāga, śūnya and aśūnya are described. śūnya means that there is no kleśa in tathāgatagarbha, and aśūnya means that there is buddhadhātu․wisdom in tathāgatagarbha. Similarly, in Laṅkāvatārasūtra, it is mentioned that śūnyatā means that ālayavijñāna․tathāgatagarbha itself does not have kleśa, but has wisdom. In Laṅkāvatārasūtra, it is pointed out that it is only tīrthaka's uccheda-dṛṣṭi that the Yogācara school interprets staying in śūnyatā․vijñaptimātratva as the extinction of ālayavijñāna․tathāgatagarbha, that is, acitta.
According to this study, it can be seen that Laṅkāvatārasūtra, known as a scripture that combines the vijñaptimātra thought and the tathāgatagarbha thought, is a scripture made with the tathāgatagarbha thought as the core teaching rather than the vijñaptimātra thought.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