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조금만 기다려주세요”: 성인 보완대체의사소통(AAC)사용자의 경험 = “Just a Minute, Please”: The Experiences of Adults Using AAC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1-44(24쪽)
KCI 피인용횟수
4
DOI식별코드
제공처
Background and Objectives: Recently, AAC user action is demanding to guarantee the right of communication. In keeping with this trend, we aimed to identify the actual experiences on AAC use of adults who are actively expressing their voices relying on the AAC system.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qualitative approach.
Participants were 10 adults with cerebral palsy who took part in social activities while appropriately meeting their communication needs using AAC device for more than 6 months. One-to-on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participants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s. After the completion of the interviews, the contents of the conversation were all transcribed, coded according to meaning statements, and organized thematically. Results: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were summarized in four themes: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communication barriers, AAC education, and social awareness and support. Conclusion: AAC has greatly improved the social participa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adults with cerebral palsy, but institutional support for these AAC users is still lacking. These findings provide insights into the client-centered AAC service delivery.
배경 및 목적: 최근 의사소통권리 보장을 요구하는 AAC 사용자 행동이 활발해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맞추어, 본 연구에서는 AAC에 의존하여 적극적으로 자신의 목소리를내고 있는 성인들을 대상으로 AAC 사용에 따른 실제적인 경험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질적연구로 진행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6 개월 이상 AAC를 사용하여자신의 의사소통 요구를 적절히 충족하면서 사회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뇌성마비 성인10 명이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질문을 이용하여 일대일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 종료 후 대화내용을 모두 전사하여 의미 진술에 따라 부호화하고 주제적으로 분류하였다. 결과: 참여자들의 AAC 사용에 대한 경험은 4 개의 주제(삶의 질 향상, 의사소통 장벽, AAC 교육, 사회적 인식 및 지원)와 10 개의 하위주제로 요약되었다.
논의 및 결론: AAC를 통한 의사소통이 뇌성마비 성인의 사회적 참여와 삶의 만족도를크게 개선시키고 있으나 이들 AAC 사용자에 대한 제도적 지원은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다. 성인 AAC 사용자의 실제 경험담을 통해 AAC 서비스에 대한 구체적인 개선 방안들을 제시했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5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21-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 KCI후보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 | 0 | 0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 | 0 | 0 | 0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