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데이터 기반 심야 모빌리티 특성 분석 연구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157(157쪽)
제공처
첨단기술의 발달에 따라 교통분야에서는 다양한 교통 빅데이터가 수집되고 있고 교통 선진국에서는 이러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통행을 모니터링하고 활용하기 위한 실증적인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 또한, 경제활동의 변화로 수도권 경제는 24시간 체제로 운영되고 있으며 심야 및 새벽 시간대에도 시민의 모빌리티 특성을 분석하고 이동권을 보장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지금까지 심야 모빌리티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은 가구통행실태조사와 같은 표본조사 자료를 활용하는 방법이 대표적이었으나 하루의 일상적인 통행을 대상으로 하는 조사의 한계로 정확하고 심도 있는 심야 모빌리티 특성 분석에는 어려움이 있어왔다. 이에 본 연구는 교통 빅데이터 중 하나인 모바일 데이터를 이용하여 최근 그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심야 모빌리티 특성을 보다 정확하고 심도 있게 분석하고 활용사례를 제시하였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경기도를 중심으로 수도권을 대상으로 하였고 시간적 범위는 0시부터 6시 이전까지의 심야시간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에서는 모바일 데이터를 활용하여 ① 심야 통행량 및 통행분포 특성, ② 주중 및 주말 심야통행 특성, ③ 통행자 계층별 심야통행 특성, ④ 심야 통행거리 및 통행시간 특성, ⑤ 수도권 권역별 심야통행 특성, ⑥ 수도권 광역 교통축 심야통행 특성의 6개 부분에 대하여 심야 모빌리티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심야 모빌리티 특성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심야버스 노선 발굴과 심야 여성 안심통행 서비스에 대한 사례 분석을 수행하였다.
수도권의 심야 모빌리티 특성은 시도, 시군구, 교통권역, 교통축 등 지역별로 다르며 시간대, 통행자 계층별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지금까지 분석할 수 없었던 광범위하고 다양한 통행정보를 포함하고 있었다. 향후, 정책적으로는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여 교통정책 수립 대상 지역과 계층을 특정하여 보다 심도 있는 교통정책개발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겠다. 학술적으로는 심야통행과 관련한 통행행태 모형과 통행 기초자료 구축을 위한 연구와 토지이용 및 사회경제지표와 연계한 통계적 분석 기반의 다양한 분석적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겠다.
With the development of advanced technology, various big data is being collected in the transportation sector. In developed countries with advanced transportation, empirical studies are being conducted using this data to monitor and analyze transportation phenomenon. Also, due to changes in economic activities, the economy of the metropolitan area is operated on a 24-hours system. Analysis of citizens" mobility characteristics and guarantee of the right to trip during the late-night and early morning are becoming an important issue.
Until now, the most representative method for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late-night mobility is the use of sample survey data such as household travel survey. However,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travel survey targeting only daily travel, There have been difficulties in accurate and in-depth analysis about late-night mobility characteristics. Using mobile data, one of transportation big data, this study accurately analyses late-night mobility characteristics that have recently increased in importance and presents case of application.
The spatial scope of this study covers the metropolitan area centered on Gyeonggi Province and the time scope is the late-night from 00:00 to 06:00. In this study, using mobile data, the characteristics of late-night mobility were analyzed for six parts: ① Characteristics of late-night trip flow and distribution, ② Characteristics of late-night trip on weekdays and weekends, ③ Characteristics of late-night trip by class of passengers, ④ Characteristics of late-night trip distance and time , ⑤ Characteristics of late-night trip by metropolitan area, ⑥ Characteristics of late-night trip by the metropolitan corridors. In addition, us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late-night mobility characteristics, case analysis was performed on bus route improvement and women safety trip service in late-night.
The characteristics of late-night mobility in the metropolitan area varied by region such as province, cities, metropolitan area, metropolitan corridors, and differed by time of day and class of passenger. Also, It contained a extensive and various travel information that could not have be analyzed so far.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se characteristics and carry out more in-depth study on transportation policy development by specifying the areas and classes for which the transportation policy is to be established. Academically,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study on developing late-nigh travel behavior model, building basic late-night trip data and statistical analysing related to land use and social economic Indicator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