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몸을 움직여 하는 일"에 대한 실철학(實哲學)적 조망 = A RECONSTRUCTION OF THE MEANING OF PHYSICAL LABOR IN EVERYDAY LIFE THROUGH THE PERSPECTIVE OF Sil PHILOSOPHY
저자
이지애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
발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Korea Culture Research Institute Ewha Womans University,Seoul,Korea)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4
작성언어
Korean
KDC
380.0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97-133(37쪽)
제공처
소장기관
본 소고는 우리 철학 나름의 창의적인 관점을 일구어내고자, 조선후기 실학 사상가들의 살아있는 생각의 단편들을 통하여 우리 현 사회 일상문화 속에서의 "몸"과 "땀"에 대한 시각 변화의 실마리들을 뽑아 내보려는 실험적인 고찰이다. 필자는 "실(實)철학"이라는 필자 나름의 개념의 틀을 통하여 대표적인 실학자들(성호 이익, 연암 박지원, 혜강 최한기)의삶과 사상들 속에서, 우리 일상의 육체노동에 대한 긍정적 의미들을 재구성해보았다. 그리고 한 실학 문학가(존재 위백규)의 시작품들을 통해 "생활시" 영역에서의 일상노동의 의미를 재조명해 봄으로써 일상성과 근대성 사이의 연결고리를 마련해 보고자 하였다. 이글은 궁극적으로, 일상의 "몸을 움직여하는 일"에 대한 부정적 시각을 극복하여 그 일을 하는 주체들로 하여금 통전적인 삶을 살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고 하겠다.
더보기This is a tentative consideration of the possibility that a creative reconstruction of the Sil-Hak scholars' life and thoughts can provide a perspective to make a change in the traditional meaning of "physical labor in everyday life." first, I reviewed three thinkers in the main stream of Sil-Hak of the late Cho-sun dynasty, and reconstructed their living thoughts by means of the conceptual frame of Sil philosophy which I originally designed based on teh spirits of reality, authenticity, and undergoing experience. This interpretation of the thoughts of Sil-Hak leads us to overcome the chronical dualism on "body" and "mind." Second, a poetic form of everyday life in that period of Sil-Hak makes us to recognize the positive meaning of "daily labor." Although I roughly dealt with one of poets in Sil-Hak literature, it gave us an insight that such a rediscover of everyday life can be a significant criterion for the genuine modernity. It is my hope that such a reconsideration of Sil-Hak Sun-bi will encourage us to live a holistic life in all kinds of daily physical labors.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