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속성 유사성이 제품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57-73(17쪽)
KCI 피인용횟수
24
제공처
소장기관
소비자 선택모형(consumer choice models) 연구들과 소비자 심리학(consumer psychology) 연구들은 제품의 속성 유사성이 대안 선택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지만, 그 효과에 대해서는 상반된 결과를 주장한다. 소비자 선택 모형 연구들은 한 대안이 다른 대안들과 속성이 유사할수록, 대안의 선택 확률은 낮아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반면에, 소비자 심리학 연구들은 대안의 속성 유사성이 제품에 대한 선호도를 높인다고 제시한다. 즉, 기존의 문헌은 속성 유사성이 대안의 선택확률에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모두 끼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두 개의 다른 연구 흐름을 통합하여, 유사성이 소비자 선택에 미치는 긍정적/부정적 영향은 대안에 대한 소비자의 친숙도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소비자들이 제품에 친숙할 경우에는 속성 유사성이 대안 선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소비자들이 제품에 친숙하지 않을 경우에는 속성 유사성이 대안 선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설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대안 선택에 관한 이산선택(discrete conjoint choice)자료를 다변량로짓(multinomial logit)모형을 사용하여 가설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본 연구의 가설을 지지하였다.
더보기The current research examines the influence of the attribute similarity among competing brands on consumer`s choice. Attribute similarity is defined as the extent to which a brand has similar with other brands in terms of the attribute levels. Both consumer choice models and consumer behavior studies show that brand preference is affected by attribute similarity. However, the two streams of research emphasize different aspects of the attribute similarity effects. Empirical consumer choice models (e.g., nested logit models and logit models allowing for brand similarity) indicate that the probability that choice probability of a brand decreases as the brand is more similar to others in the choice set due to increased competition and substitutability with other similar brands, resulting in a negative effect on choice (e.g., Manrai 1995). On the contrary, consumer behavior theories suggest that a brand that is more similar to others is preferred to the brands that are less similar (e.g., Loken and Ward 1990). When a brand is more similar to others in attribute levels, the brand is perceived as being a typical brand, and people tend to prefer typical brands to less typical brands. This research attempts to integrate the two streams of research and presents that the influence of attribute similarity on choice is moderated by product familiarity which is defined as the extent to which a set of products are more familiar and easy to evaluate. In general, attribute similarity increases competition and substitutability, resulting in decreased choice probability. However, it is expected that influence will be more positive when products are less familiar, because attribute similarity is more likely to be used as an extrinsic cue. On the other hand, when the product is more familiar, the negative influence of attribute similarity on choice will be more prominent since attribute similarity does not play a role as a decision heuristic. Thus, it is predicted that when products are more familiar, consumers tend to prefer a brand that is more similar to others, whereas when products are less familiar, consumers prefer a more unique alternative. We test the moderating effect of product familiarity on the influence of similarity on choice by analyzing a set of discrete conjoint choice data. The data set includes consumer choice of a film camera out of three familiar products (i.e., 35mm cameras) and three less familiar products (i.e., APS cameras). The data were considered to be appropriate for the study because 35mm cameras are more familiar to consumers than are APS cameras, which were only newly introduced when the main study was conducted. A pretest also supported our conjecture regarding product familiarity showing that 35mm cameras were more familiar than were APS cameras. Thus, it is predicted that the effect on choice of attribute similarity is moderated by the type of camera: Attribute similarity will exert a negative effect on the selection of the 35mm camera, whereas attribute similarity will exert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election of the APS camera. We tested the influence of attribute similarity by four different models that differ in the manner in which attribute similarity affects choice: The base model, the common attribute model, the interaction model, and the separate similarity model. The Base model assumes that the utility of brand is determined only by the level of attributes and the price. Thus, the model does not incorporate the influence of attribute similarity on choice. The common similarity model assumes that the attribute similarity of a brand with other alternatives in the choice set also influences choice. The Interaction Model includes the interaction between product type and attribute similarity that captures the differential influence of similarity on choice. It is predicted that the interaction term coefficient will be significantly positive, indicating that the influence of attribute similarity on choice is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5-10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Marketing Association | KCI등재 |
2019-04-0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Korean Marketing Review -> Korean Journal of Marketing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93 | 1.93 | 1.9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2.03 | 1.94 | 4.016 | 0.3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