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비대면상담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학술지 논문에 대한 텍스트마이닝을 중심으로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주제어
KDC
331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17-139(23쪽)
제공처
비대면상담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극복하고 독특한 상담 효과를 구현한다는 기대 속에 관심이 높아지고있다. 이에 본 연구는 비대면상담을 주제로 수행된 국내 학술지 논문을 대상으로 텍스트마이닝을 실시하여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국내 학술지 논문은 2002년부터 확인이 되었으며, 총 369편의 논문이 분석에 활용되었다. 첫째, TF와 TF-IDF 결과에서 ‘화상상담’, ‘상담자’, ‘경험’등은 비대면상담 연구의 특성을 보여주는주요 단어로 확인되었다. 둘째, 수집된 문서들에 대한 토픽모델링을 실시하고 총 7개 토픽을 도출하였다. 각토픽은 ‘화상상담 중심의 상담자 경험 이해(토픽1)’, ‘치료·회복을 위한 상담 방법 모색(토픽2)’, ‘심리적 건강 문제의 해결(토픽3)’, ‘전화상담 중심의 결과 분석(토픽4)’, ‘상담 경험과 효과 검증(토픽5)’, ‘교육과 연관된 상담의 기초 연구(토픽6)’, ‘사이버상담의 관리와 개선(토픽7)’으로 명명하였다. 셋째, 도출된 토픽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시계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토픽1, 토픽3, 토픽5, 토픽6, 토픽7의 회귀계수가 유의하지 않아 중립 토픽으로 분류되었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비대면상담 관련 용어 정리, 비대면상담 유형별 세부 주제 연구, 주제 발굴과 타 영역과의 교류 연구 등 향후상담 분야 연구에서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더보기This study conducted text mining on domestic journal articles focused on non face-to-face counseling to analyze research trends. Articles from domestic journals have been identified since 2002, and a total of 369 papers were used for analysis. First, in the results of TF and TF-IDF, keywords such as 'video counseling,' 'counselor,' and 'experience' were identified as key terms that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non face-to-face counseling research. Second, topic modeling was conducted on the collected documents, resulting in the extraction of seven topics. These topics were named: 'Understanding Counselor Experiences in Video Counseling (Topic 1),' 'Exploring Counseling Methods for Treatment and Recovery (Topic 2),' 'Resolving Psychological Health Issues (Topic 3),' 'Analysis of Outcomes in Telephone Counseling (Topic 4),' 'Verification of Counseling Experiences and Effects (Topic 5),' 'Basic Research on Counseling Related to Education (Topic 6),' and 'Management and Improvement of Cyber Counseling (Topic 7).' Third, a time series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how the derived topics change over time. Topics 1, 3, 5, 6, and 7 were classified as neutral topics since their regression coefficients were not significant. Based on the comprehensive results, the study suggests future directions in the counseling field, including the organization of terms related to non face-to-face counseling, detailed thematic research by type, exploration of new topics, and research exchange with other areas.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