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부당이득과 사용이익 - 피셔와 카메레르의 견해를 중심으로 - = Unjust Enrichment and Benefit Received in Use - Focusing on the theory of Fischer and Caemmerer -
저자
박철호 (한국교통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47-159(13쪽)
제공처
Assuming that the buyer or borrower acquires and starts occupying the object under a sales contract or lease contract, but later becomes invalid, the unjust enrichment debtor who occupied the object may be considered to have been acquiring the profit from the use of the object without legal cause during the period of possession. It may also be said that the gains from the use of the land were obtained even if another person's land was mistaken for his own land and used it as a parking lot. In this case, according to the unjust enrichment law (Article 741 of the Civil Act), the profits obtained by the unjust enrichment debtor shall be returned.
Based on the above, Fischer's argumen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rticle 812 of the BGB is amended in accordance with Article 818, Paragraph 3. As a result, the subject of the obligation to return is not regarded as the 'benefit' of Article 812, which is interpreted as the 'property difference = existing profit' of the unfair gain debtor. The reason for this interpretation is that the unfair gain debtor should not reduce his property by fulfilling the obligation to return it than in the case of no legal cause. Fischer's theory of difference can be said to be a view based on Roman law and deliberation in the BGB compilation process, which limits the obligation to return to existing profits.
Fischer, on the one hand, calls the right to claim the return of unfair gains a claim for the value of the property, that is, the subject of the obligation to return the property the 'property difference', but on the other hand, argues that in many cases the calculation of the difference is unnecessary if the return of a specific object is a problem. This contradiction can be seen as an important problem with Fischer's theory of difference. On this point, Fisher himself pointed out the problem, "Can we exercise the right to claim property value for the return of specific objects?" and then virtually denied it, calling it a future review task. In any case, Ficsher's theory of difference can be considered to have influenced German precedents since it was published in 1913.
On the other hand, on the premise of criticism of the difference theory and precedent, Caemmerer considers the subject of the obligation to return in two stages as follows. First, the object of the obligation to return is 'acquired', and then, if the 'acquired' by the unfair gain debtor is extinguished in good faith, the object of the obligation to return is exceptionally reduced to 'benefit = property difference = existing profit'.
Therefore, Caemmerer's typology ultimately has no difference from the difference theory, and like the difference theory, it can be said that it is a view based on the deliberations in Roman law and the BGB compilation process.
The two-stage structure taken by Caemmerer's typology can be evaluated as consistent with the view of the BGB compilation process that the unfair gain debtor is responsible for proving the extinction of the gain. For this reason, it can be evaluated that Caemmerer's typology is closer to the view of the BGB compilation process than Fischer's theory of difference.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