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치료학 관련 학위논문의 최근동향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The Study of Recent Directions of a Thesis for a Degree and the Methods of Practical use Related to Physical Therapy
본 연구는 물리치료전공이 개설된 국내대학원에서 2006년부터 2009년 상반기까지 최근 4년 간 발표된 물리치료 관련 석사학위 논문 중, 국회도서관 논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174편을 대상으로 연구 분석하였다.
물리치료 관련 연구 논문들의 연도별, 연구 분야별, 연구대상 및 재료별, 연구 방법별, 기타 분석 등 5개 측면에서 분석 연구하면서 도출된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향후 물리치료 연구 분야 및 방향 등을 제안하고 또한 물리치료 전공 및 물리치료에 관심이 있는 연구자들에게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연구 분석 결과 2006년 15편(8.6%), 2007년 34편(19.5%), 2008년 59편(33.9%), 2009년 66편(38%)으로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로 총 174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둘째, 연구 분야별 연구 분석 결과 종설에 관한 논문은 없었고, 기초연구보다는 임상연구 위주의 연구 논문이 88.5%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임상연구의 세부사항은 운동생리, 운동역학, 운동치료 연구와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마사지, 테이핑, 침 등의 물리치료에 관한 사항으로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셋째, 연구대상 및 재료별 연구 분석에서는 기초연구 대상으로는 동물보다는 기타 세포, 미생물 등을 이용한 논문이 많았다. 임상연구의 대상 분류에서 보면 후천성뇌질환 및 손상에 관련된 논문들로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관련 환자에 대한 임상연구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정상성인과 정상노인에 대한 대상 연구가 많았다.
넷째, 연구방법별 연구 분석에 있어서 실험연구 방법에 비해 비 실험 연구가 매우 저조하였다.
다섯째, 연구 시 필요한 연구 표본 대상인원을 정함에 있어 대부분 연구 표본 대상인원을 21명∼30명 내외를 주로 사용하였고, 그 다음으로 11명∼20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연구 시 소요된 연구기간은 6주(28.3%), 4주(23.6%), 8주(18.7%)가 전체 논문의 70.6%를 차지하였고, 치료회수는 주3회(46%), 주5회(22.5%), 주2회 치료(8%)가 전체 논문의 76.5%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물리치료 분야에서의 연구동향은 임상연구의 운동생리, 운동역학 및 운동치료 분야를 중심으로 하면서 기초연구와 다양한 치료법 등의 영역을 확대해 나가고 있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또한 최근에는 사회구조의 복잡화, 노령인구의 증가, 스포츠 의학의 발달과 관련하여 뇌졸중 관련 연구, 노인 관련 연구, 스포츠 관련연구, 의·공학 관련 연구, 제도와 관련된 연구 등 시대적 변화에 따른 요구도가 반영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물리치료 관련 연구가 사회구조와 환경변화에 따른 시대적 변화에 맞춰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연구 영역과 방법 등이 특정 분야에 편중된 경향이 있고, 결과 자료를 다른 추가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에는 다소 부족한 부분이 있었다.
따라서 향후 연구 발표되는 연구 논문은 학문의 발전과 물리치료학의 균형 있는 연구가 될 수 있도록 다양한 주제를 선정함은 물론 물리치료 분야에서 적극 활용되고 참고 될 수 있도록 여러 연구 경험들과 실적들이 축적된 보다 과학적인 실험적 설계들이 동원되고, 다양한 연구 방법 적용이 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researched and analyzed the target of 174 pieces that have registered on the papers' data base of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among master's degree papers which has been published for 4 years recently in the domestic graduate school that open the major of physical therapy from 2006 to the early of 2009.
Analyzing and researching in studying papers on physical therapy at 5 aspects in which they have been analyzed by year, studying departments, the subjects of research, materials, research methods, and others, and making use of the results from that, this study suggests physical therapy's studying fields and directions after this, and also can be used as a basic materials for researchers who are interested in the majoring of physical therapy or physical therap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researching and analyzing by year, the total of 174 pieces were published increasing gradually; 15pieces (8.6%) in 2006, 34pieces (19.5%) in 2007, 59pieces (33.9%) in 2008, 66pieces (38%) in 2009 each.
Second, as a result of researching and analyzing by area, there is no papers on the theory of preexistence, and the paper which is focused on clinical research is taking a large portion of 88.5% than the basic study. The details of clinical research mainly consist of exercise physiology, exercise dynamics, exercise therapy research, and physical therapy of massage, taping, acupuncture, etc. we contact easily in our daily lives.
Third, in research subjects and analysis by material, there are many papers which are related to cells and microbes than animals as the basic research subjects.
According to the subject classification of clinical research, there are a lot of clinical researches about hemiplegia patients by strokes, followed by the research of normal adults and old people in the papers associated with acquired brain diseases and damages.
Fourth, in research analyzing by method, non-experimented research methods are lowered than those of experiments.
Fifth, in choosing the subjects of the researching sample as a need of researching, mostly the sample members are 21-30 persons followed by 11-20 persons.
Sixth, in deciding the research period needed, It is examined that 6weeks (28.3%), 4weeks (23.6%) and 8weeks (18.7%) are occupied by 70.6% in total papers.
In the frequency of treatment, It is examined that 3 times a week (46%), 5 times a week (22.5%), and twice a week(8%) are occupied by total papers.
According to this result, recent published papers is progressing the research which is focused on the field of research exercise physiology, exercise dynamics, exercise therapy and expending the field of basic research and various therapies, etc, but recently involving in the increasing the population of senior citizens and the development of sports medicine, the current is that the degree of requirement according to the periodic change of studies which is related to strokes, the old, sports, medicine and engineering is reflected.
Furthermore, as the practical use method in the field of physical therapy by this study, if these research directions can be applied and a lot of research experience and outcome can be accumulated, so more scientific experimenting plans can be mobilized and a variety of research plan methods can be applied, it is expected that research publication of much better tendency will be increased actively.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