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배경 현재의 박물관은 사회, 문화적 교육을 넘어 관람객과 작품의 융합적 경험을 제공하는 공간으로서 관 람 경험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문화의 주 소비층으로 떠오르는 Z세대가 박물관을 더욱 적극 적으로 찾고 즐길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박물관의 디지털 기술 수용에 따라 감각이 확장되는 시점에서, 멀티 모달(Multimodal)이 반영된 청사진을 통해 DX 박물관 서비스 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확산과 수렴을 반복하는 더블다이아몬드프로세스를 기반으로 각 단계별 체계적인 방법론을 적용하 였다. 먼저 서비스 방향성을 발견하기 위해 문헌 연구와 사용자 조사를 진행하였고, 두 유형의 페르소나와 경험 맵을 활용하여 4가지 서비스 기회영역을 정의하였다. 이후, 기회영역에 대한 사용자 중심의 아이디어를 수집하 기 위해 코크리에이션 워크숍을 실시하였고, 페르소나 및 사용자 기대경험요인 검증단계를 거쳐 7가지 서비스 핵심 테마를 정립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페르소나별 시나리오와 프로토타입을 통해 구체화하였으며, 마지막으 로 멀티모달 기반 DX 박물관 청사진을 제시하여 서비스 전략을 시각적으로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상호관계형’과 ‘자아성취형’ 두 유형의 페르소나와 그에 따른 서비스 전략을 제안하였다. ‘상호관계형’의 경우 관람 초반 단계에서 제공되는 시각 중심의 맞춤형 추천 기능을 통해 박물관에 대한 사전지식 없이 편리하고 쉬운 탐색이 가능하다. ‘자아성취형’의 경우 관람 중 음악재생 등을 활용해 작품에 집중하며, 관람 후 AR 기념품을 제공받아 생생한 경험 회상이 가능하다. 또한, 멀티모달 인터랙션 시스템을 적용 하여 접근성 향상시키고, 충분한 몰입감과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하는 등 관람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결론 본 연구의 학문적 시사점으로는 박물관 관람을 경험의 요소로 삼아 고객 중심 서비스 전략을 제안하 고, DX 패러다임을 반영한 경험의 몰입과 확장이 가능한 전시 전략을 제시함으로써 기존 연구를 보완하는 데 의 의가 있다. 또한, 사례 분석을 통해 멀티모달 시스템의 구조와 경험 기대효과를 확인하고, 새로운 형태의 서비스 청사진을 제안하여 향후 연구에 활용 가능한 새로운 구조를 제시했다. 실무적 시사점으로는 군집분석을 통한 두 페르소나의 특성을 반영한 DX 서비스 전략 제안을 통해 박물관이 목적과 타깃별 서비스 구체화가 가능하며, 디 자인 관점에서 서비스를 구체화하여 실무적인 적용이 가능함을 확인했다.
Background The contemporary museum serves as a space that offers a convergent experience for visitors and artworks, transcending mere social and cultural education. The significance of viewing experiences is steadily increasing. In this context, Generation Z, emerging as the primary consumers of culture, actively seeks ways to explore and appreciate museums. As museums embrace digital technology, expanding the realm of sensory experiences, we propose a digital transformation(DX) museum service strategy through a multimodal blueprint.
Methods The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a double-diamond process that repeats divergence and convergence. Literature research and user research were conducted to find four service opportunities using two types of personas and experience mapping. Afterwards, user-centered ideas were derived through a co-creation workshop, and seven service concepts were verified through a verification stage. By converting these results into concrete proposals using personas and prototypes, we presented a DX Museum service strategy visually.
Results Through this process, two types of personas, namely the ‘interrelationship type’ and the ‘self-fulfilling type’, along with corresponding service strategies, were ultimately proposed. For the ‘interrelationship type’, convenient and easy exploration of the museum is facilitated without prior knowledge through a visually-centered customized recommendation function provided at the initial stages of viewing. As for the ‘self-fulfilling type’, artworks are deeply engaged with through music playback during viewing, and vibrant experiences can be revisited through an augmented reality(AR) souvenir service post-viewing. Additionall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viewer experience by applying a multimodal interaction system to improve accessibility and provide a sufficient sense of immersion and differentiated experience.
Conclusions The academic implications of this study suggest the importance of enhancing existing research by proposing a customer-centered service strategy utilizing museum viewing as an experiential element and advocating for an exhibition strategy that immerses and expands experiences in line with the DX paradigm. Furthermore, the structure of the multimodal system is verified through case analysis, and a novel service blueprint is proposed to introduce a new framework applicable to future research endeavors. From a practical standpoint, it was affirmed that museums can tailor services according to purpose and target audience through the proposed DX service strateg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o personas via cluster analysis. Moreover, practical implementation is feasible by specifying services from a design perspective.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