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주한미군 재편: 배경, 경과, 그리고 전망
저자
김일영 (성균관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한국정치외교사논총(Journal of Korean Political and Diplomatic History)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3
작성언어
-주제어
KDC
349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31-263(33쪽)
제공처
소장기관
최근 한ㆍ미 관계가 급속도로 악화되고 있고, 북한 핵위기 역시 해결의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그런데도 미국은 주한미군 재편 작업을 밀어붙이고 있다. 그 이유는 무엇이며, 이 작업은 현재 어디까지 진척되었는가? 그리고 이러한 재편 작업이 한ㆍ미 동맹의 미래에 대해 지니는 의미는 무엇인가? 주한미군 재편작업은 냉전 종식 이후 미국이 해외주둔군 정책을 변화시키는 과정의 일환이라는 측면도 있다. 하지만 최근 핵문제로 한반도의 위기가 고조되어 있는 상황임에도 미국이 이 작업을 서두르는 것은 반미분위기에 편승하여 집권한 ‘노무현 정부 길들이기’의 차원과 이라크 전쟁 승리 이후 힘을 얻은 럼즈펠드가 자신의 구상을 밀어붙였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한ㆍ미 양국은 현재까지 주한미군의 규모, 성격, 역할, 위상 등을 재정의하는 것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정도의 합의에 도달했다. 주한 미군은 시간이 문제일 뿐 단계적으로 1만-1만 5천명 정도 감축될 것이다. 성격도 신속기동여단(SBCT)으로 바뀔 가능성이 높으며, 장차는 동아시아 기동타격대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해외주둔미군기지에서 한국이 차지하는 위상은 중추기지로 유지될지 전진작전기지로 격하될지 현재까지는 알 수 없지만, 후자의 가능성에도 대비해야 할 것 같다. 이러한 주한미군 재배치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한국 정부는 ‘보통군대’를 지향할 수밖에 없는데, 그 경우 요체는 국방비 증액이 아니라 그것의 합리적 관리라는 점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보기Why is US government pushing the readjustment of US Forces in Korea: (USFK) under the condition of the deepening crisis of North Korea s nuclear problem? How far is it going? Which implications does it have for the future of ROK-US alliance? The reasons why US government is pushing the readjustment of USFK are two: the taming of Roh s government which could seize the power in the wave of anti-Americanism and Rumsfeld. the Secretary of Defense, is harshly pushing his military doctrine after the early victory of Iraq war, With regard to the scale, the US Ground Force in Korea might be reduced from 28.000 to 15.000 or 10.000. Regarding to the nature, the probability that it will be changed to the SBCT(Stryker Brigade Combat Team) is high. And its role will be enlarged from the bulwark (trip-wire) against North Korea to the RDF(rapid development forces) covering the Northeast Asia region.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