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긴급재난지원금과 기본소득을 둘러싼 법적 쟁점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81-138(58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2020년의 코로나19 상황은 긴급재난지원금과 기본소득 논의의 저변이 확대되는 데에 기여했다. 급박한 재난을 극복해야 하는 과제가 절실했기에 긴급재난지원금이 시급하게 지급되었다. 지역에 따라서는 긴급재난지원금은 재난기본소득으로 명명되기도 하였다. 그 과정에서 정책적 논의는 무성했지만 법적 논의는 많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긴급재난지원금에 있어서 논의가 필요한 법적 쟁점을 검토하고 기본소득과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우선 긴급재난지원금은 그 지급요건 및 내용에 있어 아직은 법적 근거가 완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권리로 보기에는 어려운 점이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헌법적 관점에서는 다양한 검토가 가능하다. 헌법 제34조 제1항의 인간다운 생활권, 헌법 제119조 제2항의 사회적 시장경제질서, 실질적 평등의 문제 등이 논의될 수 있다. 또한 기본소득과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여 법적으로 평가해보는 것도 중요한 의미가 있다. 법적 관점에서 양자는 다른 것이지만, 정책적 관점에서 보면 긴급재난지원금은 기본소득으로 이어지는 진행과정일 수는 있다고 본다. 긴급재난지원금과 기본소득에 있어서 공통된 쟁점으로는 외국인에 대한 지급 여부의 평가 및 범위, 포기의 인정 여부에 대한 문제, 지자체의 자율적 지급의 인정 여부 등이 제시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코로나19와 같은 재난은 향후에도 재발할 수 있기에 긴급재난지원금의 법적 근거와 내용을 세심하게 다듬어 보다 더 합리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에 연계하여, 미래 사회가 어떻게 흘러갈지는 모르지만, 기본소득에 대한 논의도 지속적으로 이어나갈 필요가 있을 것이다.
An unexpected COVID-19 situation in 2020 has contributed to expand the discussions on both an Emergency Relief Grant and a Basic Income. Since an imminent disaster such as a COVID-19, cast a long shadow over our whole community, a quick payment of Coronavirus Grant was urgently necessary to clear away all difficulties. Some local governments use a hybrid name “a Disaster Basic Income” for naming their own emergency relief policy. As this suggests, merely policy discussions overwhelmed legal discussions. In this thesis, we tried to focus on reviewing the legal issues of an Emergency Relief Grant, thereby comparing an Emergency Relief Grant with a Basic Income from a legal viewpoint.
First of all, it is difficult to accept an Emergency Relief Grant as a legal right because, there is no concrete normative basis for its payment as of now. Nevertheless, it is possible to make various analytic attempts from a viewpoint of constitutional law. For example, the right to human life under Article 34 (1) of the Constitution, the social market economic order under Article 119 (2) of the Constitution, and an issue of substantive equality could be discussed on an Emergency Relief Grant. Next, it is also important to compare an Emergency Relief Grant with a Basic Income reviewing both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order to make a legal evaluation. Seriously, from a legal point of view, both an Emergency Relief Grant and a Basic Income are pretty different. However, from a policy point of view, an Emergency Relief Grant could be a mid-process leading to a Basic Income. Here are some common issues in an Emergency Relief Grant and a Basic Income: An issue of a payment to foreigners and its scope, an issue of an acceptance of a payment renunciation and an issue of an autonomy in local governments’ policy management.
To sum up, since a disaster such as COVID-19 may recur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refine the legal basis and contents of the an Emergency Relief Grant carefully and operate it more reasonably. Last but not least, it would be also necessary to continue a discussion on Basic Income in connection with a discussion on an Emergency Relief Grant.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