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각의 用途 변천에 관한 연구
저자
이승연 (원광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6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309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29-154(26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전각은 인류 문명의 시작과 그 궤를 같이 하면서 많은 변화와 발전이 있어 왔다. 그 표현대상에 있어서도 초기 신석기 시대 도기에 찍었던 문 양에서부터 도상·도안·문자로 변천하였으며, 그 용도 또한 실용과 신 표의 표시에서 완상용·주술용으로 변모하여 당시 사람들의 토템이즘과 샤머니즘을 표현하는 대상으로 여겨지기도 하였다. 이러한 용도의 변화는 당시 사람들의 시대의식 및 민속의식과도 밀접 한 관련이 있어서 부귀·장수·벽사·압승용으로 차고 다니는 애장용으 로 까지 발전하였다. 특히 圖像印을 통해서는 祈福의 의미가 강화되어 위진남북조시대의 도교인들은 산속에 기도하러 갈때도 맹수나 귀신을 쫓기 위해 <황신월 장>이라고 새긴 인장을 차고 갔으며, 이러한 풍습은 도상인의 예술성을 더욱 드높게 하여 원대의 押印으로 발전하였으며, 명청대 이후 독자적인 예술로 체계를 갖추게 하였다. 즉 단순한 실용에서 독자적인 예술체계를 확립하기까지의 과정에서 많은 용도 변천이 있었으며, 이 과정에서 출현한 전각작품들의 형식과 내용을 통해 전각이 갖는 의미와 상징성을 찾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전각이 단순한 실용적, 예술적 예술분야의 산물만 이 아니라 인류의 문명과 더불어 생성되고 변천되면서 발전한 역사적 유 물로서의 가치가 매우 높음을 조명하여 그 가치를 드높이고자 하였다.
더보기Seal engraving has been through many changes and development in sync with history of mankind. The object of expression changed from pattern imprinted in early New Stone Age to iconograph · design · letter, and its usage also changed from utility and token of belief to enjoyment and incantation. Therefore, It was considered as object of expressing Totemism and Shamanism at that time. These changes of usage are closely related to awareness of that time and folk rituals, so it eventually developed into ornamental purposes as wealth · long life · Beoksa · Ap-seung. Especially, the meaning of prayer was strengthened through Iconographic seal, so Taoists of the period of Wei, Qin, North and South Dynasties wore seal engraved <Hwang-sin-wol-jang> when they went mountains for praying to drive away beasts and evil spirits. And this custom raised artistic value of Iconographic seal so it developed into sealing in Won Dynasty and after Ming and Qing Dynasty it systemized into independent art. In other words, there were many changes in usage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independent art system from simple utility. And I found the meaning of Seal engraving and symbolism through form and content of Seal engraving emerged from these process. Therefore, In this paper, I tried to raise the value of Seal engraving as historical legacy developed and changed with history of mankind not just as simple practical, artistic produ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5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2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19-04-11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Culture and Arts Contents Laboratory | KCI후보 |
201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