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구류 디자인을 위한 패션 트렌드 활용 사례연구
저자
발행사항
서울 : 성균관대학교, 2016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성균관대학교 디자인대학원 ,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 2016. 8
발행연도
2016
작성언어
한국어
주제어
발행국(도시)
서울
기타서명
Fashion trend application case studies for bedding design
형태사항
xviii, 277 p. : 삽화(일부천연색), 도표 ; 30 cm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김면
참고문헌: p. 272-274
DOI식별코드
소장기관
현대인들은 물질적 풍요와 과잉의 시대에 살아가고 있다. 수요보다 공급이 넘치는 시대적 환경과 침구류를 비롯한 인테리어 시장의 관심이 증가하면서 많은 기업들이 침구 시장에 진출하고 있다. 이러한 치열한 경쟁 속에서 침구류 디자인과 패션 트렌드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제품의 개발시간을 단축하며 침구류 디자인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할 필요가 생기게 되었다.
본 연구는 2012년부터 2014년의 패션 트렌드와 침구류 제품과 관계를 조사해 보고 패션 트렌드의 패턴과 컬러를 중심으로 디자인에 있어서 비슷한 점과 다른 점은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패션 트렌드는 패션정보지 2곳을 선정하였고 침구 회사도 업계 매출 1위 회사(A사)를 선정하여 관계를 조사하였다.
상관관계를 연구한 결과 2012년에서 ‘3.그룹: 컬러만 영향을 받은 제품’이 매출상위 제품으로 나타났지만 점차 줄어들었으며 ‘1.그룹: 패턴 & 컬러 두 가지 영향을 받은 제품’은 2012년도에서는 저조했으나 2014년에는 매출상위 제품들이 패션 트렌드의 패턴과 컬러에 더욱 더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사의 매출상위 제품들의 패션 트렌드와 침구류 디자인의 관계는 다음과 같았다.
첫 번째는 침구에서는 패션 트렌드가 반영되지만 시각적으로 강한 느낌이나 컬러 대비가 크다면 패션 트렌드 보다는 완화시켜서 표현한다는 점이다. 패턴의 크기도 침구에 면적에 맞는 비율로 확대되어야 하며 모티브간의 공간도 옷에서 보이는 면적보다는 많은 공간을 두어야 한다는 점이다.
두 번째는 패턴을 반영 할 때 복잡한 패턴의 경우 침구에서는 단순화 시켜서 사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날카로운 도형의 경우 다른 모티브와 겹침 효과나 텍스쳐 느낌을 주어서 시각적으로 차갑게 느껴지는 날카로운 부분이 많이 드러나지 않게 표현 하는 것이 좋다.
세 번째는 입체적인 소재를 반영할 경우 특정한 기능이 필요하거나 세탁과 관리가 어렵지 않은 선에서 작은 면적에서 반영해야 한다는 것이다.
네 번째는 많은 면적에 어두운 컬러, 선명한 컬러를 반영 할 때는 함께 코디하는 컬러는 비슷한 톤을 사용하거나 무채색 컬러를 사용해 편안한 느낌을 강조하고 컬러 대비가 커서 강한 느낌이 들지 않도록 한다.
다섯 번째는 가장 많은 면적에 쓰는 컬러를 결정할 경우 파스텔, 뉴트럴, 모노톤 을 선택하는 것을 제안한다.
앞에서 연구한 내용처럼 침구의 디자인 계획을 할 때 인테리어 트렌드만 참고해서 디자인을 하는 것 보다는 패션 트렌드의 패턴과 컬러를 참고하여 디자인 하는 것이 매출 상위 제품을 개발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People today are living in material wealth and this age of “superfluousness”. It is obvious that many companies enter the bedding market due to an increase of interests in interior design market and current social environment where supply is high but demand is low. In this keen competition among companies, in order to reduce product development time, there should be addressing of right direction for bedding design industry by understanding correlation between bedding design and fashion trend.
This study shows the analysis of what are differences/similarities in design mainly focusing on patterns and colors based upon research of interrelation between bedding design and fashion trend. To investigate the interrelation, the writer selects two fashion reports for the fashion trend and No.1 ranking bedding company (company A) in bedding product sales.
As a result of study correlation, Group 3(The products influenced by color) was top sales products in 2012, however, eventually the sales was getting decreased in a few years. On the other hand, sales result of Group 1(The products included by pattern & color) had steadily increased from 2012 to 2014. Hence, it was revealed that bedding products were strongly affected by both pattern and color in 2014.
According to the research of company A’s best-selling products, the correlation between fashion trend and bedding design is as below.
First of all, it is certain that fashion trend was reflected in bedding, yet if the design is visually strong or with a big color gap, the design should be modified. The size of pattern must be expanded to the bedding area, besides; there should be space between motives that is larger than the space in clothing.
Second, simplifying a complex pattern is recommendable to apply the pattern to the bedding. Also, sharp or pointed figures should be expressed with overlaying on a motive or with texture feeling in order to avoid that the sharp edges of the figure stand out as giving cold feelings.
Third, in case of applying three-dimensional material to bedding, the application should be limited to small area. Again, the final results of application should not need a specific additional function or should not be hard to wash/maintain.
Furthermore, in case of applying a dark color or a vivid color to a large area, it had better coordinated with similar color tones or achromatic colors so that the bedding gives comfortable feeling or not give strong feeling by color contrast.
Last but not least, in selection of applying color to the largest area, the best suggestion would be Pastel, Neutral, Mono tone.
As the research presented, in the planning of bedding design, it is the best to reflect patterns and colors from fashion trend but not just interior trend in order to develop top-ranking products in sale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