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LLM 활용 여부와 진행 단계에 따른 디자인 시나리오 제작에 관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Design Scenario Creation according to LLM Utilization and Progressive Phas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29-149(21쪽)
제공처
최근 디자인 프로세스와 방법론에 생성형 AI 기술을 접목하여 생산성과 효 율을 극대화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다. 그러나 디자인 과정의 순차 적이고 연속적인 특성에 따른 AI 활용에 관한 탐구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시나리오' 제작에 대형 언어 모델(Large Language Model, LLM)을 활용하여 LLM의 유용성과 한계를 조사하였다. 디자이너 4명을 모집하여 With AI, Without AI 두 가지 방식으로 정황 시나리오, 점 검 시나리오를 제작하게 하고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진행하였다. 발화 데이터를 토대로 프로토콜 분석과 코딩 스킴을 실시하였다. 결과적으 로, LLM이 시나리오 초안 작성과 다양한 아이디어 발산에 유용하다고 평 가되었으나, 장면 간 연결성을 보완하기 위한 디자이너의 역할이 필수적이 었다. 시나리오 제작 단계에 따라 LLM에 대한 기대와 역할이 달랐다. 워크 숍 참가자들은 정황 시나리오 제작 단계에서는 LLM이 아이디어 발산과 초 안 작성을 도와준다는 점에서 유용성을 크게 체감했지만, 문장 서술 능력이 중요한 점검 시나리오 단계에서는 LLM의 상호작용에서의 어려움과 장문 작성의 한계를 경험하였다. 이는 기술적 한계와 개인의 LLM 활용 역량에 따른 차이로 볼 수 있다. 따라서 AI를 단순히 디자인에 적용하는 것뿐만 아 니라, LLM이 더 높은 수준의 역량을 발휘하도록 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고 찰이 필요하다.
더보기Recent discussions have focused on integrating generative AI into design processes to enhance productivity and efficiency. However, there's a limited exploration of how AI technologies adapt across the sequential design proces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utility and limitations of integrating LLM(Large Language Model) into scenario creation at various design stages. Four experienced designers participated in workshops, employing both "With AI" and "Without AI" methods to create context and validation scenarios. Protocol analysis revealed LLM's usefulness in generating drafts and exploring diverse pathways, yet designers played a crucial role in ensuring scene coherence. Perception of LLM varied across scenario creation stages, with participants appreciating its aid in idea generation but encountering challenges with interaction and sentence composition in validation scenarios. This difference in perceived utility reflects technical limitations and user proficiency. Thus, leveraging AI for enhanced design competency requires thoughtful consideration beyond mere application.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