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대통령 권한대행의 법적 지위와 직무범위에 대한 고찰 : 헌법학계의 ‘현상유지설’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 An Examination of the Legal Status and Scope of Duties of the Acting President : Criticism of the ‘Status Quo Theory’ in Constitutional Law
저자
심현우 (고려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43-105(63쪽)
제공처
우리 헌법학계는 현상유지설을 받아들임으로써 구체적 문제들에 대해 나름의 유의미한 결론들을 계속 도출해 왔다. 하지만 ‘현상유지’라는 개념 자체가 애매모호한 데다가 학계의 용례를 분석했을 때 일관되지도 않은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번 12.3 계엄 사태 이후에 있어 왔던 대통령 권한대행 관련한 여러 논란은 정치권의 파당적 이익 추구뿐만 아니라 이론 자체에 내재하는 한계로부터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현상유지’는 ‘status quo’를 번역한 것인데, 이는 사법(私法) 영역에 있어선 ‘가처분’의 효과로서 잠정적으로 법률상태를 형성해 두는 의미를 지닌다. 또, 사법 영역에서의 논의를 분석한 결과 ‘현상유지’는 소극적 권한행사 자체를 의미한다거나 원칙적 소극성을 의미할 수도 없다고 하였다. 그러한 주장은 “한편의 안정성은 다른 편의 움직임이다”라는 당연한 사실을 간과한 것이다. ‘관리행위’ 역시 소극성뿐만 아니라 적극성도 내포한다. 이에 따라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의무’에 대해서도 큰 오해가 있다고 지적하였다. ‘현상유지’는 법인의 계속성을 목적으로 한 ‘경영 기조의 유지’를 의미하고, 헌법학에서는 주로 이를 ‘국정 기조의 유지’라 표현한다.
어떤 사무가 현상유지를 위한 관리행위에 국한되는 것인지는 국가 혹은 헌법의 목적을 고려해 판단할 수밖에 없다. 그렇다고 했을 때, ‘인간의 존엄과 가치’가 종국적 목적이 될 수밖에 없고 이를 최대한으로 보장하기 위해 국민은 국가권력에 권한을 위임한 것임을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대통령 권한대행에게 ‘소극적 권한행사’나 ‘원칙적 소극성’을 요구하는 것은, 오히려 국민주권주의와 그에 기인하는 공익실현의무에 반하는 것이라 지적하였다. 그러한 요구의 주요 근거인 ‘민주적 정당성’은 국가의 계속성, 정치적 안정성을 위해 형량(제한) 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국무회의의 일원인 국무총리나 국무위원이 대통령의 직무를 대행하는 것은 ‘사도적 승계(apostolic succession)’ 측면에서 정당성을 갖는다. 하지만 ‘국정 기조의 유지’를 기계적으로 요구하는 것 또한 국민주권주의와 권한대행 제도의 취지에 반한다고 하였다. 업무의 효율 등 역시 사도적 승계의 정당성을 이루는 것이다. 대통령 권한대행은 대통령과 대리관계나 위임관계에 있지 않다. 대통령 권한대행 제도는 대통령직이 궐위되거나 사고 시에 대통령의 보좌기관이 국민의 수임자로서 대통령의 직무를 대신 수행하도록 한 것이다. 법정대리와 유사하게 헌법에 따른 대행이므로 그 직무범위는 원칙상 포괄적으로 대통령 권한의 전부에 미친다고 할 것이다. 그러나 우리 헌법은 대통령 권한에 관한 법률유보 조항을 상당히 두고 있으므로, 입법을 통해 이를 제한할 가능성 역시 열려 있음을 지적하였다.
The constitutional law community in Korea has continued to draw meaningful conclusions on specific issues by accepting the status quo theory. However, the concept of ‘status quo’ itself is vague, and when analyzing its usage in academic circles, it appears to be inconsistent. Maintaining the status quo' in the realm of private law is intended to temporarily establish a legal state through the effect of an injunction. Moreover, the analysis of discussions within the judicial domain reveals that ‘maintaining the status quo’ does not necessarily mean a passive exercise of authority or a principle of passivity. This argument overlooks the obvious fact that “the stability of one side moves the other”. It was also pointed out that there is a significant misunderstanding regarding the ‘duty of a prudent administrator’. The maintenance of the status quo refers to the continuation of the management policy aimed at preserving the corporation's continuity, and in constitutional law, this is referred to as the maintenance of the national policy.
Ultimately, whether a matter is confined to routine administrative tasks aimed at maintaining the status quo must be considered in light of the objectives of the state or the constitution. In this regard, the ‘dignity and value of the individual’ must necessarily be the ultimate goal, and it must be considered that the people delegate authority to the state power to protect these values to the greatest extent possible. Therefore, requiring the acting president to exercise passive authority or adhere to a principle of passivity contradicts popular sovereignty and the duty to realize the public interest. The main rationale behind such demands, ‘democratic legitimacy’ can be limited or balanced for the sake of the continuity of the state and political stability, as clarified through constitutional theory and comparative legal analysis. In particular, the Prime Minister or ministers, as members of the State Council, exercising presidential duties is legitimate from the perspective of ‘apostolic succession.’ However, it was argued that mechanically requiring the ‘maintenance of national policy direction’ also contradicts the principles of popular sovereignty and the system of acting presidential authority. Efficiency in duties, among other factors, also contributes to the legitimacy of apostolic succession. The acting president does not have a representative or delegated relationship with the president. The system of acting president is designed to ensure that, when the presidency is vacant or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the president's supporting body carries out the president's duties as a representative of the people. Since the acting role i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 similar to legal delegation, its scope of duties would, in principle, encompass all the powers of the president. However, since our Constitution includes substantial provisions on the legal reservation of presidential powers, it was pointed out that there is also the possibility of limiting this through legislation.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