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경력단절 여성의 온라인 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한 진로전환 과정 탐색 = Exploring Career Transition Processes of Career-Interrupted Women through Participation in Online Learning Communitie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89-223(35쪽)
제공처
본 연구는 경력단절 여성들이 온라인 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해 진로전환을 이루어가는 과정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고자, Strauss와 Corbin(2001)의 근거이론을 적용한 질적 연구이다. 30∼50대 경력단절 여성 12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고,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을 통해 개념 및 범주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중심현상은 ‘온라인 관계 속 자아와 진로의 재구성’으로 나타났으며, 인과적 조건(변화 인식을 통한 성장 동기 발현), 맥락적 조건(온라인 학습공동체의 참여와 상호작용, 지지와 갈등 속 균형 형성), 중재적 조건(유연성과 편안함을 갖춘 학습 환경), 행동/상호작용 전략(성장을 이끄는 관계의 확장, 지속가능한 학습실천과 습관형성), 결과(일과 진로의 새로운 의미 정립, 함께 나누며 이루어가는 성장과 성취)를 중심으로 패러다임 모형을 구축하였다. 핵심범주는 ‘느슨한 연대 속 호혜적 성장’으로, 온라인 환경의 자율성과 적당한 거리감 속에서 상호지지적 관계를 형성하며 진로전환을 이루어가는 과정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디지털 환경에서 경력단절 여성의 진로전환 메커니즘을 이론적으로 설명하며, 온라인 학습공동체가 자기재발견과 진로설계를 위한 효과적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더보기This study explores the career transition process of career-interrupted women through their participation in online learning communities, applying Strauss and Corbin’s (2001) grounded theory methodolog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2 women in their 30s to 50s, and data were analyzed through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The central phenomenon identified was ‘reconstructing self and career through online relationships.’ A paradigm model was developed, encompassing causal conditions (growth motivation triggered by recognizing change), contextual conditions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in online learning communities; balancing support and conflict), intervening conditions (a flexible and comfortable learning environment),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expanding growth-oriented relationships; establishing sustainable learning practices), and consequences (redefining the meaning of work and career; achieving growth through mutual support). The core category, ‘reciprocal growth within loose connections,’ describes how career-interrupted women form mutually supportive relationships in the autonomous and emotionally safe space of online platforms, thereby facilitating meaningful career transitions. This study provide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how digital environments support career transition and self-rediscovery and suggests that online learning communities can serve as effective alternatives for career development among women facing career interruptions.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