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주요국 감사원의 디지털 감사 체계 법·제도적 고찰: 미국, 영국, 유럽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Digital Audit Systems in Major Countries: A Focus on the Audit Offices of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and the European Union
디지털 감사의 도입은 공공 감사와 정부의 효율성을 높일 기회로 인식되고 있으나, 그 메커니즘과 법·제도적관점에서의 연구는 아직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디지털 감사 체계의 설계 및 법령 정비를 위해, 미국, 영국, 유럽 감사원의 디지털 감사 체계를 전략, 조직, 디지털 기술, 프로세스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는데, 이들은 조직 전반에 걸쳐 적극적인 변화를 꾀하고 있다. 먼저 추진 방향과 과제를 장기 목표와 전략에 반영하여 지속적인 추동력을 갖추고, 유연한 기능 중심의 수평 조직과 전문적 리더십 체계 강화를 도모하였다. 기술측면에서는 표준화된 절차에 기반한 재무감사를 중심으로 이상 거래 등을 탐지하는 데이터 분석을 실시하고, 도입초기 발생한 문제에 대해서도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등을 활용하여 해결해 나가며 지속적으로 여러 부문으로 확장하고 있다. 프로세스에 있어서는 아직 법령 등의 큰 변화는 없으나, 단순 반복 업무에 대해 자동화를 추진해 핵심업무에 집중하도록 추진되고 있다. 디지털 감사 체계 확립을 위해서는 단편적인 기술 도입이 아닌 전략-조직-기술-프로세스를 연계한 조직 전반의 메커니즘 변혁과 관련 법령 등 정비가 필요하다
더보기Digital auditing presents an opportunity to enhance both auditing practices and government efficiency. However, research on the necessary mechanisms and legal framework to support its implementation remains insufficient. This study examines the digital auditing systems of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and the European Union, where comprehensive organizational changes. Their approach focuses on aligning goals and long-term strategies while maintaining continuous momentum. Additionally they emphasize the development of flexible, function-centered horizontal structures and the reinforcement of professional leadership systems. From a technological perspective, initial efforts are centered on data analysis to detect irregular transactions within standardized financial audits. Despite early challenges, big data and AI are increasingly being employed to expand digital auditing into diverse sectors. Although no major legal or procedural changes have been implemented yet, ongoing efforts aim to automate routine tasks, enabling auditors to concentrate on core responsibilities. For digital auditing system, merely adopting isolated technologies is insufficient. Instead, an approach to integrate strategy, organizational structure, technology, and processes is required to drive comprehensive transformation, accompanied by necessary legal reforms.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