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상세검색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법사회학의 과거, 현재, 미래 = Sociology of Law in Korea: Past, Present and Future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이 논문은 한국 법사회학의 역사를 1945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문헌조사를 통해서 정리한 것이다. 70여년의 기간을 세 시기로 구분해서 한국 법사회학이 어떻게 변화해왔는가를 추적하였다. 각 시기는 해당 시기에 주요 활동을 했던 학자들의 관점이나 문제의식에서 발견되는 공통점과 한국 사회에 나타난 거대한 변화의 흐름을 주요 기준으로 하여 구분하였다. 이 논문에서 논의의 대상으로 삼은 학술논문은 일반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사회학적 법학과 법사회학의 구분을 토대로 법에 대해서 사회과학적 연구를 수행한 것으로 제한하였다.
      제1기는 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로 한국 법사회학이 형성되는 시기로, 제2기는 198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로 한국 법사회학의 발전기로, 제3기는 2000년대 이후의 기간으로 한국 법사회학의 성숙기로 구분하였다.
      제1기의 초창기에는 주로 외국학자들의 이론을 소개하는 논문들이 주류를 이루었으나, 1960년대 들어서면서 한국사회에 수용된 자유주의 법체계가 현실 속에서 제대로 작동하는가를 밝히기 위해서 사회조사방법론을 활용한 연구들이 활기를 띄었다. 이 시기에 법사회학자들의 관점은 서구에서 수용된 현대법체계와 법현실 간에 괴리가 엄청나게 크기 때문에 한국사회의 발전을 위해서는 한국인들의 법의식이 빠른 시일 내에 근대적인 법의식으로 변해야 한다는 공통된 견해를 보이고 있다.
      제2기는 한국사회의 급격한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한 법학자들의 학술운동이 중추적인 역할을 한 시기이다. 1980년을 기점으로 민주화의 열기가 사회 전체로 확산되면서 법학계에서도 이러한 변화의 흐름에 적극적으로 동참하는 움직임이 나타났다. 1980년대 후반 “법과사회이론연구회”와 “민주주의법학연구회”가 발족하면서 법학계 전반에 지각변동을 가져왔다. 두 연구회는 악법개폐운동과 과거사청산을 주요 과제로 설정하였을 뿐만 아니라 자본주의의 모순과 법제도와의 관계를 밝히는 것을 주요 목표로 설정하기도 하였다. 두 연구회는 학술적인 연구를 넘어 사회변혁을 위한 학술운동으로의 성격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학회들과는 다른 면모를 갖고 있다. 두 연구회는 그동안 한국 사회에 뿌리내렸던 악법들을 제거하는데 지대한 공헌을 한 것으로 평가된다.
      제3기는 앞선 시기에 법사회학을 연구해온 신진학자들과 외국에서 수학하던 신진학자들이 대거 합류하였고, 곧 이어 이들로부터 지도를 받은 3세대 학자들이 합류하면서 한국 법사회학의 성숙기를 이뤄냈다. 제2기에 사회변혁을 위한 학술운동이 강조되었던 것과는 달리 이 시기에는 전문적이면서 심층적인 학술연구가 주류를 이루기 시작하였다. 외국의 사회이론과 법이론이 대거 소개되었고, 이러한 이론들을 토대로 한국 사회를 분석하는 연구물이 산출되었으며, 법제도에 대한 심도 있는 경험적 연구가 수행되었다. 제3기에는 서구학계의 최신 법사회학 이론들에 대한 연구가 다변화되었으며, 경험적 연구에서도 법체계와 법현실 간의 괴리보다는 한국사회에서 소송이 얼마나 일어나고 있는지를 거시적인 차원에서 그리고 구체적인 분쟁 상황에서 법이 어떻게 작동하는가를 미시적인 차원에서 분석하는 연구들이 출간되었다. 나아가서 법조사회학의 영역에서도 상당한 연구성과들이 나타났으며, 젠더 법학과 사법과정에 대한 연구들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성과들을 볼 때, 제3기에 한국 법사회학이 상당한 수준에 이르렀다고 평가할 수 있다.
      결론에서는 한국 법사회학의 발전에 대해서 간략하게 정리하고서 향후 법사회학이 해결해야 할 과제들에 대해서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더보기

      In this article the developing process of sociology of law in Korea from 1945 to the present is described. The 70 years are divided into three periods according to the common viewpoint and issues which Korean scholars in each period tried to shed light upon in their works.
      The first period is from 1950’s to 1970’s. The first period is a forming period of the sociology of law in Korea. The second period is from 1980’s to 1990’s and it can be characterized as a developing period. The third period is after 2000 and is a maturing period.
      In the early years of the first period, the articles were written to introduce foreign scholars’ theories and their thoughts. From 1960’s, some empirical studies began to explore the legal reality of Korean society using social scientific research methods. Korean legal sociologists in this period focused on gaps between the legal reality and the modern legal system that had been introduced after the liberation from Japan. In the first period, Korean scholars found that there was a big gap between legal system and legal reality in their studies and had a common view that Korean society needed modern legal consciousness to adapt the new legal system and to modernize Korean society.
      In the second period, Korean legal scholars including legal sociologists actively responded to the great change of Korean society including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From the spring of 1980, a highly elated atmosphere for democratization began to expand all over the country and young legal scholars took action in this changing trend. In the late 1980’s two legal associations were organized; Korean Law & Society Association, and Democratic Legal Studies Association. The two associations set up their priori task to abolish bad laws and to clear up the past affairs bygones in legal academy. The two associations were distinguished from the existing academic associations during the time in how they pursued academic movement to reach social transformation beyond academic studies. The two associations are highly recognized for abolishing bad laws that imposed a constraint on freedom of speech and personal liberty under the authoritarian government.
      In the third period, young scholars who finished their doctoral degree in Korea or foreign countries began to commit themselves to the study of legal sociology. They published articles that introduced new trends of foreign social theories and legal theories. In addition to that, they analyzed Korean legal system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legal system and legal reality. Their methodologies had increased and diversified. Several scholars pursued empirical studies upon the increasing rate of civil disputes rather than only conducting gap studies as in the first period. Furthermore, many articles published had analyzed the formation of lawyer, judge and prosecutor, their career pattern, and etc. Gender legal studies and other various topics of studies of sociology of law were published. With active and increasing studies by many scholars, the third period can be characterized as a maturing period of legal sociology in Korea.
      In conclusion, several themes that Korean scholars need to further pursue for their studies in the area of sociology of law in the future are suggested.

      더보기
      • 1 한국법사회학회, 관악사 (2) : 2003
      • 2 한국법사회학회, 관악사 (창간) : 2002
      • 3 장다혜, "혼인취소를 둘러싼 젠더 폭력의 중층적 구성: 강제결혼 피해여성의 출산경력 불고지로 인한 혼인취소 인정판결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연구소 18 (18): 47-100, 2018
      • 4 김주수, "혼인에 대한 법의식의 실증적 고찰" 4 (4): 1962
      • 5 양현아, "호주제도 위헌소송에 관한 법사회학적 고찰: ‘가족’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36 (36): 8-24, 2002
      • 6 정성훈, "형이상학 이후의 인권이론 모색 - 루만과 하버마스로부터" 법학연구원 (58) : 113-149, 2010
      • 7 김기두, "형사법학계의 회고" 29 (29): 1978
      • 8 박천웅, "협회 없는 전문직화: 1920-30년대 일본식민 통치하 조선의 변호사 전문직화 과정 분석" 한국사회연구소 19 (19): 141-175, 2018
      • 9 한국법사회학회, "현대 법사회학의 흐름" 세창출판사 2017
      • 10 이계일, "헌법해석에 있어 법과 사회의 상호작용: 볼킨(J. Balkin) 법이론에 있어 헌법해석주체의 다원적 확장과 위헌심사의 민주적 정당성 기초" 법과사회이론학회 (42) : 251-288, 2012
      • 11 이재혁, "합리적 선택론 법사회학과 사회규범" 법과사회이론학회 (48) : 1-34, 2015
      • 12 김정오, "함병춘 선생의 한국법문화론" 법학연구원 24 (24): 21-58, 2014
      • 13 임희섭, "한국인의 법의식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 15 (15): 1974
      • 14 김도현, "한국의 소송과 법조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7
      • 15 양 건, "한국의 법현실주의’-‘법과사회’이론학회 창립 20주년에 붙여서" (33) : 2007
      • 16 김정오, "한국의 법문화(2): 시민의 법문화 2 : 미아 1 - 1 지구 재개발지역의 분쟁을중심으로" 연세대 9·10 : 2000
      • 17 김정오, "한국의 법문화 : 인식, 구조, 변화" 나남 2006
      • 18 양 건, "한국에서의 ‘법과 사회’ 연구" (1) : 1989
      • 19 한국법철학회, "한국 현대법철학의 형성과 전개" 세창출판사 2010
      • 20 오정진, "한국 최고재판소 판결에 대한 여성주의적 분석여성 당사자 사건을 중심으로" 한국법철학회 10 (10): 2007
      • 21 이국운, "한국 사회에서 법조계 전관예우의 원인과 대책"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5 (25): 1-39, 2017
      • 22 황승흠, "한국 법의식조사 연구사의 검토" 법학연구소 22 (22): 59-92, 2010
      • 23 염유식, "한국 법의식 조사에 대한 연구 방법론 검토-2008 국민 법의식 조사연구를 중심으로-" 법과사회이론학회 (37) : 215-239, 2009
      • 24 함병춘, "한국 노동조합의 현실과 노동법: 전매노동조합을 중심으로" 3 : 1964
      • 25 양현아, "한국 가족법 읽기 : 전통, 식민지성, 젠더의 교차로에서" 창비 2011
      • 26 이상돈, "하버마스의 인권이론" (42) : 2004
      • 27 김정오, "푸꼬의 권력이해와 법" (3) : 1990
      • 28 안진, "포괄적 차별금지법의 입법쟁점에 대한 일고찰― 현행 차별금지법제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38 (38): 537-589, 2018
      • 29 양현아, "평등, 차이, 정의를 그리다" 서울대출판문화원 2019
      • 30 장경학, "판례의 법사회학적 연구" 2 : 1971
      • 31 김연식, "토이브너의 헌법 다원주의의 관점에서 본 경제 영역에서 국가의 역할: 헌법 제119조 제2항의 “경제의 민주화”와 관련하여" 법과사회이론학회 (46) : 327-372, 2014
      • 32 심우민, "제도적 상상력으로서의 법문석-Roberto Unger의 법이론을 중심으로-" 법과사회이론학회 (33) : 221-254, 2007
      • 33 로베르토 웅거, "정치" 창비 2015
      • 34 김도현, "정보사회와 평등문제: 보편적 서비스의 ‘소프트’한 의미를 위하여" 8 (8): 2007
      • 35 오정진, "잠복한 부당성과 법의 소환: 미투(Me_too) 성폭력 재판과 공적 조치" 법학연구소 29 (29): 51-70, 2018
      • 36 박영도, "입법학입문" 법제연구원 2008
      • 37 심우민, "입법학의 기본관점: 입법논증론의 함의와 응용" 서강대학교출판부 2013
      • 38 심우민, "인공지능과 법패러다임 변화 가능성: 입법 실무 거버넌스에 대한 영향과 대응 과제를 중심으로" 법과사회이론학회 (56) : 351-385, 2017
      • 39 홍성수, "인간이 없는 인권이론? ―루만의 체계이론과 인권―" 한국법철학회 13 (13): 243-272, 2010
      • 40 Teubner, "익명의 매트릭스 ‘사적’ 초국적 행위자들에 의한 인권 침해" (6) : 2009
      • 41 오태원, "위치정보의 보호와 산업진흥을 위한 정책결정 연구" 23 (23): 2015
      • 42 김창록, "위안부 문제와 미래에 대한 책임: 한일합의에 대항하여" 민속원 2018
      • 43 김도현, "우리나라 민형사재판의 상소율 수준: 국가간 비교와 시간적 추이" 법과사회이론학회 (50) : 57-86, 2015
      • 44 배종대, "우리 법학의 나아갈 길-형법학을 중심으로" 1 : 1989
      • 45 홍성수, "영국의 법사회학 -개념, 역사, 현황-" 법과사회이론학회 (34) : 297-322, 2008
      • 46 윤진숙, "여성주의 정의론" 탑북스 2016
      • 47 오정진, "여성주의 법학의 지형" 법과사회이론학회 (38) : 395-410, 2010
      • 48 Margaret Walters, "여성 인권의 역사 : 서양 페미니즘을 중심으로" 동방문화사 2019
      • 49 이국운, "앰허스트로 가는 길" 한국법사학회 (43) : 167-200, 2011
      • 50 권건보, "신원조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법과사회이론학회 (28) : 87-127, 2005
      • 51 박천웅, "식민지 조선 변호사의 연결망, 계층화, 협업: 조선고등법원 민사 상고 사건 판결록(1910-23)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50 (50): 119-162, 2016
      • 52 홍성수, "성희롱에 대한 법적 규제와 여성주체의 문제: 하버마스와 포스트모더니즘의 비판" 한국법철학회 12 (12): 195-218, 2009
      • 53 양현아, "서울대 법대의 면면한 전통, 법사회학의 70년사" 58 (58): 2017
      • 54 양현아, "서구의 여성주의 법학" 한국법사학회 (26) : 229-267, 2002
      • 55 이국운, "상고심 제도의 개혁 방안 연구 : 합당한 법다원주의의 관점에서" 법과사회이론학회 (60) : 29-66, 2019
      • 56 니클라스 루만, "사회의 법" 새물결 2014
      • 57 이국운, "사법개혁의 정치학 - 법률가양성제도개혁논의의 정치적 함의 -" 한국법학원 73 : 5-25, 2003
      • 58 로베르토 웅거, "비판법학운동" 엘피 2019
      • 59 김두식, "불멸의 신성가족" 창비 2009
      • 60 황승흠, "분쟁과 질서의 법사회학" 성신여대 출판부 2005
      • 61 고봉진, "분업의 병리학" 한국법철학회 21 (21): 249-282, 2018
      • 62 홍성수, "복지국가에서 법에 의한 자유의 보장과 박탈: 하버마스의 비판과 대안" 한국법철학회 18 (18): 157-186, 2015
      • 63 김재원, "변화하는 법 법학: 포스트모더니즘과 법" (7) : 1993
      • 64 박천웅, "변호사의 학벌/학력, 전관 (前官), 그리고 주변화: 대한제국 시기에 등록한 조선인 변호사들의 주변화와 식민지 문화 및 사회자본" 법과사회이론학회 (50) : 87-121, 2015
      • 65 이상영, "벤담의 Common Law 체계에 대한 비판과 입법론 구상에 대한 연구" 법학연구소 49 (49): 1-39, 2008
      • 66 장경학, "법학통론" 법문사 2004
      • 67 최유경, "법학전문대학원 제도 도입을 통해 본 법률가직역의 젠더 계층화(Gender Stratification)에 관한 연구" 법과사회이론학회 (50) : 383-427, 2015
      • 68 이철호, "법학자 의당장경학의 생애와 학문세계-의당 선생님의 서거 3주기를 맞으며" 14 (14): 2014
      • 69 양건, "법학의 길, 나의 길: ‘법과 사회’ 30주년에 즈음하여" 법과사회이론학회 (56) : 1-19, 2017
      • 70 윤재왕, "법체계의 자율성 - 체계이론적 관점에서 본 법과 정치의 관계" 비교법학연구소 50 : 259-317, 2017
      • 71 G. Teubner, "법제화이론" 한국법제연구원 2004
      • 72 이재협, "법정언어에 관한 인류학적 연구 ‐ 국민참여재판에서의 문화적⋅상호교섭적 측면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52 (52): 121-171, 2011
      • 73 김명아, "법전문가의 법의식 조사연구" 한국법제연구원 2016
      • 74 황승흠, "법의식조사의 방법론에 대한 검토 -‘법태도 조사’를 중심으로-" 법과사회이론학회 (36) : 245-276, 2009
      • 75 함병춘, "법의 실효성과 공무원" 4 : 1963
      • 76 로스코 파운드, "법의 새로운 길" 법문사 1961
      • 77 김도현, "법의 도덕성: 에밀 뒤르켐의 법사회학" 법과사회이론학회 (43) : 243-270, 2012
      • 78 양천수, "법의 근대성과 탈근대성 - 하버마스와 투렌의 기획을 중심으로 하여 -" 법학연구소 50 (50): 161-191, 2009
      • 79 이은영, "법여성학의 위상과 이념" (8) : 1993
      • 80 은숭표, "법사회학의 입장에서 본 헌법상 국가와 정치 그리고 사회국가- 루만의 시스템이론의 입장에서 본정치시스템의 자체서술과 그 헌법상의 의미 -" 법학연구소 (27) : 199-253, 2007
      • 81 최대권, "법사회학의 이론과 방법" 일신사 1995
      • 82 에를리히, "법사회학의 기초이론" 원기사 1955
      • 83 김여수, "법사회학의 기능" 4 (4): 1959
      • 84 최식, "법사회학에 있어서의 산 법(하)" 12 (12): 1963
      • 85 최식, "법사회학에 있어서의 산 법(상)" 12 (12): 1963
      • 86 김여수, "법사회학 연구" 11 : 1966
      • 87 박홍규, "법사회학 서설" 敎育科學社 1993
      • 88 양현아, "법사회학 : 법과 사회의 대화" 다산 2013
      • 89 이상돈, "법사회학 : M. Weber, J. Habermas, N. Luhmann의 사회학이론과법패러다임" 박영사 2000
      • 90 니클라스 루만, "법사회학" 한길사 2015
      • 91 최대권, "법사회학" 서울대출판부 1992
      • 92 이영희, "법사회학" 법문사 2003
      • 93 최대권, "법사회학" 서울대출판부 1983
      • 94 윤대규, "법사회학" 경남대학교 출판부 1997
      • 95 양건, "법사회학" 민음사 1986
      • 96 안진, "법무·검찰 조직의 성평등 증진방안에 관한 일 연구" 법학연구소 30 (30): 149-190, 2019
      • 97 이국운, "법률가의 탄생: 사법불신의 기원을 찾아서" 후마니타스 2012
      • 98 박은정, "법관의 자기이해에 관한 경험적 연구" 법과사회이론학회 (53) : 185-221, 2016
      • 99 이국운, "법관의 임용과 인사제도의 개혁방안" 법학연구소 11 (11): 119-145, 2009
      • 100 강성은, "법과 사회 : 법사회학의 이론과 방법" 바로 2014
      • 101 최대권, "법과 사회" 서울대학교출판부 1994
      • 102 이상영, "법과 사회"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02
      • 103 박홍규, "법과 사회" 한국방송통신대학출판부 1994
      • 104 홍성수, "밖에서 본 민주법연 20년 ― 한 ‘이념 학회’의 정체성 위기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민주주의법학연구회 (42) : 115-152, 2010
      • 105 오대성, "민사조정의 운영실태와 그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중재학회 17 (17): 189-219, 2007
      • 106 안진, "미군정기 억압기구 연구" 새길아카데미 2012
      • 107 안진, "미군정과 한국의 민주주의" 한울아카데미 2005
      • 108 윤진숙, "미국의 포스트모던 페미니즘 법담론에 관한 연구" 법과사회이론학회 (28) : 151-178, 2005
      • 109 김정오, "미국의 사회적 법연구의 전개와 동향" 법학연구소 24 (24): 35-56, 2007
      • 110 김재원, "미국의 법학교육과 변호사 윤리" 정법 2007
      • 111 이재협, "미국 배심제에 대한 법인류학적 고찰 - 과학주의의 관점에서 본 미국 배심제의 논리 -" 법학연구소 50 (50): 337-377, 2009
      • 112 장경학, "명저순례: 한스 켈젠-공산주의의 법이론" 19 (19): 1978
      • 113 장경학, "명저순례: 제롬 홀-민주사회의 살아있는 법" 19 (19): 1978
      • 114 장경학, "명저순례: 제롬 프랭크 저-법과 현대정신" 18 (18): 1977
      • 115 장경학, "명저순례: 막스 베버 저-법사회학" 18 (18): 1977
      • 116 김명숙, "막스 베버의 법사회학" 한울 2003
      • 117 김명숙, "막스 베버의 R. 슈탐러 비판과 법사회학 기초" 법과사회이론학회 (59) : 239-271, 2018
      • 118 정성훈, "루만의 법이론의 위상과 법의 역설 전개 고찰" 법과사회이론학회 (48) : 35-59, 2015
      • 119 은숭표, "루만의 (법)사회학: 루만의 시스템이론" 新英社 2002
      • 120 김창록, "로스쿨을 주장한다" 유니스토리 2013
      • 121 이상수, "로스쿨법의 제정과정에 대한 법사회학적 해석 - 시민참여입법의 동학 -" 법학연구소 12 (12): 259-287, 2010
      • 122 이상수, "로스쿨 학생들이 바라보는 바람직한 법사회학 강의의 구조 -현상학적 질적 연구방법에 의한 도출-" 한국법사학회 (43) : 101-131, 2011
      • 123 장경학, "라드브루흐의 법사회학적 측면" 3-4 : 1967
      • 124 윤진숙, "동성 간의 혼인에 관한 판례연구-미국 매사츠세츠주 굿리지 사건을 중심으로-" 법과사회이론학회 (32) : 347-365, 2007
      • 125 강희원, "도이치 법사회학의 흐름" 법학연구소 41 (41): 213-252, 2006
      • 126 이재협, "대한민국의 법률가 : 변화하는 법조에 관한 경험적 탐구" 박영사 2016
      • 127 이철우, "다문화주의의 지속가능성: 유럽의 다문화주의 정책 현실에 대한 진단과 유럽인권재판소 판결의 분석" 법학연구소 30 (30): 199-254, 2017
      • 128 최대권, "농촌의 사회구조와 법" 18 (18): 1978
      • 129 김슬기, "난민임의 의사소통적 구성: 국내 난민 면담에 대한 민족지적 연구" 법과사회이론학회 (45) : 193-231, 2013
      • 130 이상수, "기업의 인권침해에 대한 법적 규제" 법학연구소 8 (8): 89-157, 2018
      • 131 John Gerard Ruggie, "기업과 인권" 필맥 2014
      • 132 신동룡, "근대형법이론의 담론분석: 시론적 접근 ― ‘신체중심 형법이론’과 ‘법률중심 형법이론’의 차이점 연구 ―" 한국법철학회 5 (5): 141-172, 2002
      • 133 로베르토 웅거, "근대사회에서의 법" 삼영사 1994
      • 134 김정오, "규범마찰과 분쟁야기에 따른 정서변화의 양태분석" 서강대 (5) : 1996
      • 135 신동준, "경험적 법사회학 연구의 방향과 제도주의 이론" 법과사회이론학회 (36) : 451-474, 2009
      • 136 오태곤, "결혼이주여성의 참정권 강화를 위한 법사회학적 기초 연구 -정치참여변수 간의 관계성 분석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9 (9): 711-722, 2018
      • 137 김중순, "같은 공간, 다른 시간 : 1960년대 한 법학도가 바라본 한국의 참 모습" 나남 2015
      • 138 장다혜, "강간죄의 재구조화: 전문가 대상 설문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11 (11): 2019
      • 139 로스코 파운드, "英美法의 精神" 민중서관 1956
      • 140 강경선, "法과 社會"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2000
      • 141 양건, "法社會學" 아르케 2000
      • 142 규르버치, G, "法社會學" 法文社 1959
      • 143 로스코 파운드, "法律史觀" 일한도서출판사 1956
      • 144 양현아, "『서울대학교 法學』 50년의 성과와 전망: 법사회학 분야" 50 (50): 2009
      • 145 이소영, "“건전사회”와 그 적들: 1960-80년대 부랑인단속의 생명정치" 법과사회이론학회 (51) : 23-54, 2016
      • 146 고봉진, "‘자본주의의 총체성’과 ‘사회체계의 기능적 분화’" 한국법철학회 17 (17): 7-34, 2014
      • 147 이계일, "‘실제 속의 법’ 관념을 중심으로 본 현실주의 법이론의 변천" 법학연구원 20 (20): 146-187, 2010
      • 148 고봉진, "‘사회와 유기체’에 대한 일고찰(一考察)" 법학연구소 33 (33): 353-373, 2017
      • 149 이철우, "[특집]사회과학으로서의 법학인가, 법에 대한 사회과학적 분석인가" 한국법철학회 9 (9): 59-94, 2006
      • 150 이철우, "The Legal Topography of Agrarian Relations in Southern Korea under Japanese Rule: Law and Tenancy Practices in Suncheon County, South Jeolla Province, 1920-1934" 한국학중앙연구원 12 (12): 139-164, 2009
      • 151 Chulwoo Lee, "South Korea: The Transformation of Citizenship and the State-Nation Nexus" 40 (40): 2010
      • 152 박용철, "Max Weber의 法社會學의 構造" 18 : 1976
      • 153 박용철, "Max Weber의 法社會學에 對한 考察" 20 : 1975
      • 154 Pyong-choon Hahm, "Legal System of Korea" International Cultural Foundation 1975
      • 155 Dai-Kwon Choi, "Korea and Japan Judicial System Transformation in the Globalizing World" Seoul National Univ. Press 2007
      • 156 Chulwoo Lee, "How Can You Say You’re Korean? Law, Governmentality and National Membership in South Korea" 16 (16): 2012
      • 157 Chulwoo Lee, "Hegemony, Contestation, and Empowerment: The Politics of Law and Society Studies in South Korea" 1 (1): 2014
      • 158 Chulwoo Lee, "Did the Haves Come Out Ahead? Civil Justice and Agrarian Relations in Korea under Japanese Rule" 5 (5): 2014
      • 159 현대호, "2015 국민법의식조사연구" 한국법제연구원 2015
      • 160 이세정, "2008 국민법의식 조사연구" 한국법제연구원 2008
      • 161 박상철, "1994 국민법의식 조사연구" 한국법제연구원 1994
      • 162 박상철, "1991 국민법의식 조사연구" 한국법제연구원 1991
      • 163 양천수, "1980년대 이후 전개된 독일 법사회학의 현황- 토이브너의 이론을 중심으로 하여-" 법과사회이론학회 (30) : 117-140,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4-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Law & Society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법과사회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후보
                •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2 0.92 0.8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9 0.65 1.055 0.15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