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러시아 북서-유럽연합 간의 지역통합 프로세스 -발트 해 지역의 한자동맹 사례를 중심으로- = The regional integration process between Northwest Russia and European Union -focusing on the experience of the Hanseatic Leaguein the Baltic Sea region-
저자
김영술 (전남대학교 유라시아연구소)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61-81(21쪽)
KCI 피인용횟수
2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Russia and European Union are required the effective regional cooperation in the Baltic Sea region because of geographical changes and the relationship in Europe, the possibility of the bipolar system in Europe, and the conditions of the integration in the northwest region of Russia or the choice of modernization's changes. This article examines the possibility of regional integration through regional cooperation between Northwest Russia and European Union. This article analyzes the integration process and regional cooperation through the Hanseatic League in the Baltic Sea Region from globalization and regional integration perspective.
At the level of regional integration, it is not possible that a Russia's European Union will become membership, and Russia has not the possibility of the FTA Agreement between Europe and Russia, formation of the customs union or a single market. There is no possibility at all the Economic Union and full economic integration between Europe and Russia. In addition, realization of a common European economic space remains as the object of theoretical discussions. This is a dilemma to Russia in the orientation of economic integration and protection of sovereignty.
In this situation, the experience of the Hanseatic League has many implications. The Hanseatic League was the main direction of globalization based on the trade economic through the process the region of integration. The Hanseatic League was the key of localization, it is composed of cities, not countries. The Hanseatic League is based on free merchants network, border cooperation and free trade economic system. It played an important role for the Hanseatic economic community.
Therefore, the New Hanseatic League is the most optimal format for the new regional integration in Europe and Russia. It is local resources. Moreover, the Hanseatic League is the unique and powerful tool which will give new opportunities to expand influence in the Baltic Sea to Russia.
유럽의 지형과 관계의 변화, 유럽에서 양극 모델의 가능성, 그리고 러시아의 북서 지역에서 통합의 필요조건과 현대적인 변화로의 선택의 기로에 선 러시아에게 발트 해 지역에서 효율적인 지역협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러시아의 입장에서 러시아 북서-유럽 연합 간의 지역협력에 나타난 상호작용을 통해 지역통합의 가능성 여부에 대해 고찰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한자동맹을 통해 발트 해 지역의 글로벌화 관점에서 지역의 통합 프로세스와 지역통합이라는 관점에서 발트 해 지역의 현재의 지역화와 지역협력을 분석한다.
현재 지역통합 차원에서 러시아가 유럽연합의 회원이 되거나 유럽과 러시아 사이에 FTA 체결 가능성, 관세동맹 또는 단일시장 형성 가능성은 없어 보이며, 그리고 러시아가 유럽연합과 경제 연합이나 더 이상의 완전한 경제통합은 전혀 가능성이 없다. 또한 진행되고 있는 공동 유럽 경제 공간의 현실화 문제마저도 이론적 논의의 대상으로 남아 있다. 이것은 한편으로 경제 통합에 대한 지향성과 다른 편으로는 주권에 대한 보호 지향성으로 러시아의 유럽연합에 대한 딜레마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한자동맹의 경험은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해서 볼 때, 무역경제에 기초한 한자동맹은 지역통합의 프로세스를 통한 글로벌화의 주요 방향이었으며, 한자동맹의 네트워크는 그 구성 주체가 국가가 아니라 한자도시들로서 지역화의 핵심이었다. 중요한 것으로 한자동맹의 경제공동체를 이룬 기초에는 경계를 넘나드는 자유로운 한자도시연합 상인들의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국경협력, 그리고 자유무역 경제 시스템 등이 그 역할을 하였다.
따라서 지역통합의 모델로 새로운 한자동맹의 모색은 유럽과 러시아 사이의 상호 작용의 효과적인 조직을 위한 가장 최적의 형식뿐만 아니라, 지역 자원의 독특하며 강력한 수단이며, 그리고 러시아가 발트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는데 새로운 기회를 주게 될 것이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10-07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Asia-Pacific Studies -> Journal of Asia-Pacific Studies | KCI등재 |
2019-04-10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Asia-Pacific Studies -> Journal of Asia-Pacific Studies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4-01-0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nal of Asia-Pacific Studies -> The Journal of Asia-Pacific Studies | KCI등재 |
2013-12-3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nal of Asia-Pacific Studies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9-06-08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아시아 태평양지역연구원 -> 국제지역연구원영문명 : Center for Asia-Pacific Studies -> Institute of Global Affairs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6 | 0.76 | 0.7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6 | 0.73 | 1.093 | 0.23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