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인권 관점에 의한 3・1운동 수업 구성과 실천 = Designing and Practice of 3・1 Movement Class from Perspective of Human Right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15-167(53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This paper set a direction of history classes from perspective of human rights and proposed some suggestions of the Civic History Class by analyzing students’ responses, after designing and practicing the 3・1 movement class according to such a perspective.
The 3・1 movement was raised for freedom, human equality and peace, based on awareness of human rights, and also served to overcome 1910s when human dignity was lost, due to human rights violation. It was attempted for Koreans to overcome experiences of their withheld and excluded free emotional needs and legal rights, at social and political level. It can be recognized as human rights movement, in that it resulted in the growth of public spontaneous participation and awareness of human rights. Therefore, the first purpose of the 3・1 movement history class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 rights is to allow students to critically evaluate causes and outcomes of historical behaviors, by interpreting the 3・1 mov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 rights. The second purpose is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at Koreans acquired human rights by spontaneously participating in solving their problems in the past, through reenactment of their problemsolving processes, and thus foster students’ participation willingness.
After the class, students examined and could sympathize with specific lives of Koreans in Japanese colonial period, by investigating historical events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 rights, and then they could recognize that Koreans were confronted with human rights violation at that time. In addition, they could also recognize some changes in Koreans’ awareness of human rights after the 3・1 movement and internalize the concept of human rights. Most of them understood that Koreans worked together to restore their human rights for themselves, which would never be completed alone. Students were impressed due to the fact that a lot of people spontaneously participated in the movement throughout the country, and exhibited participation willingness, by comparing such participation to Candlelight Revolu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an implication, in that it allowed students to understand the 3・1 movement as an event which has been continuously associated with the present, by helping them observe the historical event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 rights in history classes in an elementary school, and furthermore encouraged their participation willingness for better civic society.
이글에서는 인권 관점의 역사수업 방향을 설정하고 인권 관점에 따라 3・1운동 수업을 구성하고 실천한 후 학생 반응을 분석하여 시민역사수업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3・1운동은 인권의식의 차원에서 자유, 인류평등과 평화의 차원에서 제기된 운동이었으며, 인권침해 상황의 차원에서는 인간 존엄성이 상실되던 1910년대를 극복하기 위한 운동이었다. 1910년대 조선인들이 사회 정치적 차원에서 자유로운 정서적 욕구의 분출과 법적 권리의 유보 및 배제를 경험을 극복하고자 한 것이었다. 그 과정에서 대중의 자발적 참여와 인권의식의 성장을 가져왔다는 점에서 인권운동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런 점을 고려하여 인권 관점에 의한 3・1운동 역사수업의 첫 번째 목표는 학생들이 변화하는 인권의 관점에서 3・1운동을 해석함으로써 역사적 행위의 원인과 결과를 비판적으로 평가하도록 하는 것이며, 두 번째 목표는 과거 사람들의 문제해결과정을 추체험하여 인권이 사람들이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획득된 것임을 이해함으로써 참여의지를 함양하는 것이다.
수업 후 학생들은 역사적 사건을 인권의 관점에서 살펴봄으로써 일제강점기 사람들의 구체적인 삶의 모습을 살펴보고 공감할 수 있었으며, 인권침해 상황임을 인식할 수 있었다. 또한 학생들은 3・1운동을 전후한 사람들의 인권의식의 변화를 인식하고 인권 개념을 내면화할 수 있었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당시 사람들이 혼자서는 결코 할 수 없는 자신의 인권을 스스로 찾는 일을 위해 힘을 모아 행동하였음을 이해하게 되었다. 학생들은 전국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였다는 사실에 고무되었고, 이를 촛불집회에 비유하며 참여의지를 내보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초등학교 역사수업에서 학생들에게 인권 관점에서 역사적 사건을 바라보게 함으로써 현재까지 지속성과 연관성을 가진 사건으로 3・1운동을 이해하게 되고 더 나은 시민사회를 위한 참여의지를 고취시켰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1 | 1.21 | 1.2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 | 1.11 | 1.919 | 0.24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